EZ EZViwe

동부제철 채권단 "자율협약 불가능해지면 워크아웃도 검토"

김승리 기자  2014.06.29 20:26:54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신용보증기금의 반대로 자율협약이 불가능해지면 워크아웃을 추진할 방침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29일 "동부제철 구조조정의 최선책은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으로 가도 큰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 등의 동부제철 채권단은 30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회의를 열고 동부제철의 구조조정 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다.

산은과 농협 등 모든 채권단은 자율협약에 동의의 뜻을 밝혔다. 반면 신용보증기금은 여전히 확실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다. 자율협약은 채권단 100%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보를 설득하지 못할 경우 자율협약은 체결될 수 없다.

산은 관계자는 "자율협약이 맺어지면 은행권의 협의만으로 기업의 정상화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구조조정을 이뤄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워크아웃으로 결정되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이후 실사를 통해 충당금 규모를 결정하기 때문에 워크아웃으로 가도 큰 문제는 없다"고 설명했다.

IFRS 도입 전에는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대손충당금이 결정됐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 이전에는 자율협약이 맺어지면 대출금은 요주의여신으로 분류돼 채권의 20%를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했다. 워크아웃일 경우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으로 규정해 50%의 충당금을 쌓아야 했다.

하지만 IFRS 도입 이후 기업의 부채에 대한 충당금은 회계법인에서 진행하는 실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워크아웃이나 자율협약이나 큰 차이가 없다.

이 관계자는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자율협약"이라며 "채권단의 합의를 이뤄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신보는 "자율협약이 체결되면 동부제철 회사채 700억 원 가운데 신보가 떠안아야 할 액수가 400억 원"이라며 "이런 부담 때문에 자율협약에 동의하기 어려운 처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같은 입장을 반복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견을 좁힐 제안을 받지 못했다"며 "자율협약과 워크아웃 사이에서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해 회의에서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동부는 회의에 앞서 자구계획 세부이행계획이 포함된 동부제철 자율협약 신청서를 산은에 제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