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저신용자들이 보다 작은 부담으로 은행 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입된 '저신용자 신용평가 모형'이 대출 확대 및 대출 금리 인하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은행들이 도입한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에 힘입어 저신용자(신용평가사 기준 7~10등급)에 대한 대출이 6.8% 증가하는 동시에 대출금리는 0.75% 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국민·하나·농협·외환·광주·경남은행 등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을 도입한 7개 은행의 저신용자 대상 신규대출 취급규모는 월 평균 917억원으로 도입 이전(859억원)보다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자 신용평가모형은 기존 모형에서 적용하지 못했던 저신용자의 특성을 반영해 은행대출의 접근성을 높이고 금리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개발됐다.
이 모형을 도입한 후 저신용자의 대출금리도 평균 9.79%에서 9.04%로 0.75% 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출 승인율도 69.7%에서 73.4%로 3.7% 포인트 높아졌다. 저신용자들이 보다 쉽게, 보다 낮은 금리에 은행 대출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금감원은 SC·대구·부산·씨티·전북·수협 등 6개 은행에 대해서도 이 모형을 도입하도록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신용자에 대한 원활한 자금공급 및 금리부담 경감 등을 위해 저신용자 모형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런 모형이 실제 저신용자 대출에 적극 활용돼 서민금융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