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책을 열면 중국이 보인다
중국이 꿈틀대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유치하고 WTO에 가입하면서 세계무대에 화려하게 등장한 중국. 최대인구를 가진 나라로만
알려졌던 중국은 앞으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나라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중국의 한류열풍과 경제투자열기로 중국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그러나 한때의 유행으로 중국을 바라보면 큰 코 다치기 일쑤다.
이번호에서는 피상적인 중국에 대한 이해가 아닌 사회, 문화, 이들의 삶을 통해 중국의 깊은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책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중국은 가짜다
제스퍼 베커 저/ 이은선 역/ 홍익
지난 15년간 중국특파원으로 활동한 제스퍼 베커의 <중국은 없다>판. 빈곤 속의 농촌,착취와 인권유린 속에서 살아가는 노동자
등 사람들이 미처 보지 못한 중국의 밑바닥을 꼬집고 있는게 특징이다. 이 책은 중국에 대한 허구와 환상에 젖어 있는 세계인들에게 경고장을
던지고 있다.
한비야의 중국견문록
한비야 저/ 푸른 숲
‘바람의 딸’이라 불리는 한비야가 중국을 이야기한다. 중국어연수를 위해 중국으로 향한 한비야지만 다른 사람, 다른 것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버릴 수는 없었다. 베이징 거리에서 만난 사람들, 자본주의 물결의 한가운데 있음에도 꼿꼿이 서있는 중국인들의 삶에서 한국의 한계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중국, 영화로
가다
후지이 쇼조 저/ 김양수 역/ 지호
저자 후지이 쇼조는 지난 백 년간의 중국의 역사를 영화를 통해 조망하고 있다. 중국인들에게 영화는 단순한 즐기기가 아니라 기억의 방식이며
그들의 삶과 정서, 역사의 표현물이다.
이 책은 <패왕별희>, <푸른 연>, <붉은 수수밭>, <중경삼림>,<음식남녀> 등
잘 알려진 영화로 중국의 참모습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새책 소개 |
한강
조정래 저/ 해냄
<아리랑>,<태백산맥>으로 널리 알려진 조정래가 <한강>을 품고 독자들에게 찾아왔다. 그는 <한강>에서도
투철한 역사의식과 강인한 민족정신을 바탕으로 60, 70년대 민초들의 삶과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결혼에
항복하라
아이리스 크라스노우 저
박재희 역/ 물푸레
저자 아리스 그라스노우는 결혼에 대한 환상을 경계한다. 이 책에서의 ‘항복’은 결코 수동적 의미가 아니다. 불완전한 결혼생활을
받아들이라고 그 안에서의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너희가
마케팅을 아느냐?
최승현 저/ 한언
많이 팔아도 왜 이익이 남지 않을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소비자의 관심은 좋은 것인가? 이런 마케팅의 딜레마로 고민하고 있는
마케터들에게 반가운 책이 나왔다. 20여년간 마케팅현장에서 뛰어다닌 최승현이 속시원히 그 딜레마를 풀어준다.
한국미술,
그 분출하는 생명력
강우방 저/ (주)월간미술
역사 속 유물로 보아왔던 빗살무늬 토기, 고구려 불상, 석굴암, 연화와당 등이 한국미술사로 다시 태어난다. <월간미술>에
1년 이상 연재되어온 에세이를 묶은 이 책에는 한국미술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사진과 미문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
이혜선 기자 <www.sisa-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