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제17대 대통령 당선자는 20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 방향과 관련,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가벼운 실무자적 인수위를 꾸리겠다"고 밝혔다.
이 당선자는 이날 오전10시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가진 내,외신 합동기자회견에서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실무자 인수위원을 선정하겠다"며 "4월 총선이 있기 때문에 정치인들은 가능하면 배제할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당선자가 실무자급으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것은 인수위원회 구성원들은 차기 정부를 이끌 각료들이 될 것이라는 것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당선자는 또 "정권 인수인계 과정에서 모든 공직자들이 10년만에 정권이 바뀐 것에 대해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도 전화통화에서 정권 인수인계를 많이 준비해 왔고, 완벽하게 인수토록 최대한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강조했다.
이 당선자는 특히 "여야는 서로 적이 아니고 필요한 반대자"라면서 "저부터 마음의 응어리를 풀겠다"고 강조해 '이명박 특검법' 정국 속에서 대통합민주신당 등 정치권의 협조를 요청했다.
이 당선자는 '경제살리기'를 강조했지만 순조로운 국정 이양과 북핵문제 해결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경제살리기는 결국 기업이 투자를 하는가에 달려 있다"며 "그동안 분위기상 반시장, 반기업적 분위기 때문에 기업들이 투자를 꺼린 것이 사실이며 이명박 당선 그 자체로 투자가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핵 문제 해결에 대해서는 "진보와 보수를 넘어서는 실용주의적 외교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게 북핵폐기"라면서 "북한으로 하여금 핵을 포기하는게 체제를 유지하고 주민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임을 설득하려 한다. 6자 회담을 통한 국제공조와 특히 북미 회담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가 협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당선자는 대북정책에 있어서 실용주의적 성향에 따라 앞으로 대미관계에서 이념이나 명분, 체면보다는 국익이 우선시되고 대북문제 등에 있어 한.미.일 3국의 협조 체제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