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인위적 경기 부양 반대하는 대신 규제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친기업 정책을 쓸 것을 분명히 했다. 2일 민관 경제연구기관장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 당선자는 "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려 정부 주도로 무리하게 7%를 만들겠다는 어리석은 정책은 쓰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 당선자의 공약인 7% 성장 달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는 데 대한 설명으로 해석된다.
이 당선자는 또 "결국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하는데 사실 이것은 기업들 스스로 찾는 것"이라고 지적한 뒤 "정부가 미래 산업을 어떻게 하라고 하는 것보다 길만 잘 터주면 잘 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의 큰 문제점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한다는 나라이면서도 사실 시장에는 상당히 반시장적, 반기업적 정서가 있다는 것"이라며 "새로운 정부는 친기업적 정부로 간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규제를 푸는 데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는데 그 점도 인식을 새롭게 하자"면서 "규제를 풀면 투자가 일어나고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만들 것이며 또 재투자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소위 기업 환경을 바꾸고 규제 하나 바꾸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하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 환경을 긍정적으로 바꾸겠다고 생각하고 기업들도 거기에 맞춰 잘하겠다는 인식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