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7일로 예정됐던 청와대 업무보고 일정을 전격 연기하고 서면보고만 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어제 저녁 인수위 정무분과 진수희 간사로부터 차성수 시민사회수석에게 전화가 걸려와 7일 예정된 청와대 비서실 업무보고를 보류했으면 한다는 요청이 있었다"며 "다만 서면보고서는 예정대로 제출해달라고 연락이 왔다"고 말했다.
강승규 인수위 부대변인은 6일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인수위원간 예비 당정협의 일정이 잡혀 7일 오전 10시로 예정됐던 청와대 업무보고를 연기하기로 했다"며 "일단 서면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하루에도 일정이 몇개씩 늘었다 줄었다 한다"며 "청와대의 추후 보고 일정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같은 공식 설명과 달리 인수위의 청와대 비서실 업무보고 연기 요청이 최근 노무현 대통령의 "인수위는 호통치고 자기 반성문을 요구하는 곳이 아니다"는 직설적 비판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양측간 갈등 기류가 심상치 않은 상황인 만큼 업무 보고를 보류하기로 한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아울러 청와대 비서실의 업무보고 과정에서 양측이 충돌할 우려를 감안, 일정을 조정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인수위에는 어차피 해봐야 이견만 확인하고 끝날텐데 서면보고로 갈음하는게 낫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특히 업무보고 추후 일정도 잡지 않아 이런 해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인수위와 한나라당은 예비 당정협의 일정 때문에 연기됐을 뿐 다른 정치적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인수위 정무분과 관계자는 "청와대의 경우 일반 정부부처와는 달리 아직 개편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사전조율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일정을 조정해 달라고 청와대측에 요청한 것"이라며 "최근 노 대통령 발언과는 아무 관계없는 일"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