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상위 10%가 국내 순자산 54.3% 보유

홍경희 기자  2008.01.30 22:01:01

기사프린트

국내 상위 10%의 계층이 우리나라 순자산(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제외한 것)의 절반 이상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가계자산 분포와 불평등도의 요인별 분해'라는 논문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기준으로 자산 상위 10%의 계층이 국내 순자산의 54.3%를 보유하고 있는 등 순자산 분포의 불평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상위 1% 계층이 순자산의 16.7%, 상위 5%는 39.8%, 상위 10%가 순자산의 54.3%를 가지고 있었다.
1999년의 경우 상위 1%는 9.7%, 상위 5%는 30.9%, 상위 10%가 46.2%의 순자산을 갖고 있었으나 2006년에는 순자산 집중도가 더 높아져 계층간 자산 불평등도가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총소득 집중도 면에서 1999년에는 상위 1%, 5%, 10% 계층이 각각 7.8%, 19.9%, 28.3%의 소득점유율을 보였으나 2006년에는 상위 1%, 5%, 10% 계층이 각각 9.0%, 21.4%, 32.0%의 소득점유율을 보여 계층간 소득 격차도 확대됐다.
남 연구위원은 "하위 자산계층에 대한 교육지원이나 자산형성 지원 등이 실효를 거둬야 분배 불평등이나 사회 양극화 문제가 축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