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대통령선거 후보였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2일 대선 이후 계속되고 있는 고소고발 사건과 관련해 '정치보복'과 '야당탄압'을 경고하고 나섰다.
정 전 장관은 이날 대국민 성명을 통해 "최근 정치보복과 야당탄압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제 선거운동에 참여해 헌신적으로 애쓴 많은 분이 수사 당국의 조사를 받고 사법처리 대상이 되고 있다"며 "이는 정치보복과 야당 탄압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명백한 조짐이며, 정치보복이나 야당 탄압은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87년 이후 국가권력이 전면에 나서 정적을 숙청하는 관행은 사라졌으며 5년전, 10년전에도 대선 과정의 고소, 고발 사건을 서로 취하하고 새롭게 출발했다"며 "정치보복이나 야당에 대한 일체의 탄압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전 장관은 "4월 총선을 앞두고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한나라당의 의혹"이라며 "만약 사실이라면 새 정부와 한나라당, 나아가 나라의 장래를 위해서도 매우 불행한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끝끝내 문제를 삼겠다면 후보였던 저 한 사람만 겨냥해달라"며 "선거에서 진 뒤 승자에게 비통한 호소를 해야 하는 불행한 후보는 제가 마지막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현재 정 전 장관은 BBK 관련 발언 등으로 검찰의 소환장을 받았고, 의원과 당직자 등 20여명이 한나라당에 의해 고소, 고발됐다. 박영선 의원은 6건의 고소, 고발과 10억원의 민사소송을 제기당했고, 특히 정봉주 의원은 불구속 기소됐다.
이와 관련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만약 정동영 후보가 당선됐다면 (검찰) 소환장이 왔겠느냐"며 "한나라당은 애초에 (이명박 대통령의 BBK 연루 의혹)문제를 제기한 박근혜 전 대표와 그 측근부터 소환조사해서 엄벌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강금실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정치보복대책위를 구성했으며,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야당 탄압 대책을 논의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