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 신계륜 사무총장이 24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사무총장직과 총선기획본부장, 총선 선대위본부장 등 자신이 맡고 있는 당직을 한번에 내놓았다.
신 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정말 힘들었지만 총선 준비하는 일이 내가 아니면 안된다고 생각해 그 일을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며 "이제 내가 할 일은 다했다. 총선이 끝날 때까지 임하려 했지만 어젯밤 12시에 비례대표 추천을 마치고 나니 견딜 수 없는 공허함이 밀려 왔다"며 복잡한 심경을 토로했다.
앞서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에서 당지도부가 공천 원천 배제자 비례대표 공천 구제 원칙을 세움에 따라 그는 "내가 죽을 자리를 찾겠다"며 그 자리에서 당직 사임과 함께 탈당 의사를 밝히고 회의장을 나갔다.
그러나 그는 사퇴 이후 행보에 대해서는 "무슨 계획이 선명하게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내가 생각한 옳음의 가치관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고 입증할 책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자신의 지역구인 서울 성북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할 것을 시사했다.
신 사무총장은 특히 "수많은 신문과 방송에서 비리에 '비'자만 나와도 내 이름을 거론했는데, 성북구 유권자들은 (여론조사에서) 단 한번도 (다른 후보에게) 1위를 내 준 적 없이 놀라운 신뢰를 보내주고 있다"면서 "박재승 국민이 있고 신계륜 국민이 (따로) 있느냐. (나에 대한) 놀라운 신뢰를 보여준 유권자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이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박 위원장이 말하는 원칙은 추상성만을 담보하고 있지만 구체성은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구체성을 담보하지 못하면 표를 얻을 수 없다. 그동안 말하고 싶었지만 참아왔다. 그러나 지금은 말할 수 있고 앞으로도 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우상호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 브리핑을 통해 "(최고위에서) 신상발언을 듣기만 했을뿐 사퇴처리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면서 "최고위에서는 상당히 착잡한 상태에서 신상발언을 들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