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나라, '친박복당' 긍정적 추진키로

김부삼 기자  2008.05.14 17:05:05

기사프린트

한나라당이 '7월 전당대회 전 복당 불허론'을 사실상 철회하고 18대 국회 원 구성 추이를 보면서 긍정적으로 추진키로 함에 따라 당외 친박인사들의 복당문제가 새 국면에 접어들었다.
강재섭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14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복당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조윤선 대변인이 전했다.
조 대변인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대상을 받아들이는데는 이견이 없다"면서 "새로운 원내대표가 선출되고, 18대 국회 원 구성 진행 추이를 봐가면서 당 윤리 규정과 정체성에 맞는 인사들을 받아들일 범위와 시기를 구체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강 대표는 전당대회 이전에는 복당을 불허하는 입장을 완화, 시기는 반드시 전대 전후를 고집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친박 인사들의 일괄, 선별복당 등 복당 허용 범위 및 구체적 시기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 지도부가 복당 문제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하되 윤리 규정과 당 정체성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서 친박 성향의 김학원 최고위원은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복당 원칙에 가까스로 합의는 했지만 시기와 방법에 대해 이견이 있었다"면서 "회의 결과에 불만스럽다. 자꾸 늦춰질 경우 전대 이전까지 복당 문제가 결론 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사실상 보류 결정이 아니냐"고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이에 앞서 그는 최고위 회의에서 "단지 친박 성향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공천에서 낙천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이 사람들에 해당되는 한 일괄적으로 복당을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친박계는 복당의 대원칙이 마련됐지만 '선별복당이냐' '일괄복당이냐'를 둘러싼 입씨름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돼 이 문제는 향후 당 지도부 논의 과정에서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