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서울 재개발, 뉴타운 지역에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봇물을 이루고 있다.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지난해 11월30일 이전에 앞다퉈 관리처분인가 계획을 신청했던 사업장들의 인가가 차례로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작년 11월 말 서울지역에서 관리처분계획 인가 신청을 낸 재개발 사업지는 줄잡아 30여곳. 서울 성동구 금호18구역(건립가구수 403가구)이 지난 2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았고, 지난 16일에 마포구 아현3구역(3063가구), 19일에는 금호17구역(497가구)이 각각 인가를 받았다.
은평구 응암동 8구역(1148가구), 동작구 흑석6구역(937가구), 신정·신월뉴타운 1-2지구(359가구), 마포구 공덕5구역(794가구) 등도 모두 올해 관리처분인가가 떨어졌다. 닥터아파트 조사를 보면 올 들어 서울시내에서 관리처분인가를 받고 이주했거나 이주할 예정인 재개발 사업지는 총 40여곳, 2만8000여가구 규모다. 이 여파로 재개발 구역 인근의 다세대·연립 등은 전세 물건이 동났다.
전셋값도 4월 현재 강북권은 작년 말 대비 연립주택이 5%, 단독주택이 4.2% 각각 상승했다. 같은 기간 강남권의 상승폭(2.6%, 2.8%)보다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