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음식물쓰레기 민간수거업체들이 6일째 수거를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와 민간업체간의 의견차가 커 이번 사태가 장기화 될 전망이다.
지난 11일(수) 오후 7시 시청에서 대구시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중단 사태해결을 위한 2차 협상’을 최성근 음식물자원화협회 영남권회장 외 업체 대표 12명과 권태영 환경녹지국장 및 관계 공무원 3명이 4시간이 넘는 마라톤협상을 벌였으나, 서로의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2차 협상에서 대구시는 공공처리시설 증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지만 참가한 민간수거업체 대표들은 경영상의 어려움을 들어 증축 계획 백지화를 주장하였다.
대구시에서는 “공공처리시설 설치의 계획 백지화는 힘들다면서, 업체의 의견을 충분히 모을 수 있도록 1개월 의견수렴 기간을 주겠다”라고 제안했으나, 업체 측은 “대구시가 공공처리시설을 증설할 경우 대부분의 업체가 도산한다며 계획을 백지화하고 원점에서 재검토 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대구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어제 2차 협상이 결렬되었으나 지금도 시에서는 업체와의 대화 창구를 열어놓고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라며, “하루 빨리 이번 사태가 마무리 되어 시민들의 불편이 해결되기를 기대하다”라고 전했다.
이번 음식물쓰레기 처리중단 사태는 2013년부터 음식물쓰레기 발생폐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대구시가 음식물쓰레기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달서천위생처리장 내 일일 300t 규모의 공공처리시설 조성계획을 세움으로써 발단이 되었다.
한편, 대구시의 음식물쓰레기 대란이 예상됨에 따라 시에서는 신천처리장을 24시간 가동하면서 능력을 하루 400t으로 늘리고 성서소각장에서도 하루 100t정도 처리하고 있다. 또한, 각 구ㆍ군청에서는 주민들에게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당부하고 있다.
대구시는 이번 사태가 있기 전까지 하루 음식물쓰레기 680t 가운데 530t은 민간업체에 맡기고 나머지 150t은 신천하수병합처리장에서 처리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