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와 한국노총이 ‘화성시근로자종합복지관’ 재건축 문제를 놓고 마찰을 빚어 온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지난 17일자 사회면)
더욱이 시는 준공된 지 10년이 좀 넘은 화성시 근로자종합복지관(근로자복지관) 건물을 철거하고 신설 건물을 지을 계획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예산낭비’라는 지적마저 받고 있다.
시는 지난 해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태안서부권(화산동 일대) 지역의 인구가 급증과 함께 근로자복지관 노후화로 인한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산출된다면 ‘화산동 종합행정복지타운’ 건립을 검토했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해 10월 충청남도 보령시 C호텔에서 환경산업국장을 비롯한 시 관계자 11명과 한국노총 화성지부 6명, 수원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한 가운데 ‘화산동 종합행정복지타운 건립 방안 논의’란 주제로 회의를 주최한 바 있다.
이 날 회의는 근로자복지관의 재건립 위치와 인구증가에 따른 행정복합타운 건립 방안, 향후 한국노총 화성지부의 본연의 업무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시는 한국노총 화성지부와 화성시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현재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
한국노총 화성지부 고위 관계자 Y씨는 “시가 주장하는 소행정타운이라는 것이 실질적으로 노동단체를 들러리로 만드는 계획이었다”며 “소행정타운이 건립되면 근로자종합복지관이란 명칭이 사라지는 등 노동단체가 근로자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이 줄어 든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화성시의회 측 역시 지난 98년 준공된 건물을 철거하고 신축건물을 짓는 것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밝히면 근로자복지관 재건축 문제와 관련된 예산을 두차례에 걸쳐 삭감시켰던 것으로 확인됐다.
시 지역경제과 담당 공무원은 “현재 근로자복지관이 상당히 노후화되어 있어 보수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상태”라며 “화성시 입장에서 보면 근로자복지관 인근 도서관, 파출소, 노인정 등을 재개발해 복합행정타운으로 재건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결국 근로자복지관 재건축과 관련된 ‘화산동 종합행정복지타운 건립’은 예산낭비 지적에 따른 부담과 노동단체의 반발 그리고 예산 수반이 이뤄지지 않는 등 이중, 삼중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재 사업추진이 답보상태에 빠졌다.
한편 화성시 근로자종합복지관(화성시안녕동 20-5번지)은 부지 3482㎡에 연면적 3319㎡(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지난 98년 3월 준공돼 한국노총 화성지부에서 위탁 운영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