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성시 공직사회 내부에서“청사를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심심찮게 흘러나오고 있다. 더욱이 일부 공직자들은 10년도 내다보지 못하고 지은 청사가 현재는 ‘활용도’마저 부족한 건물이 되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준공된‘화성시 청사(화성시 남양동 2000번지)’는 부지면적 8만8733㎡(2만6842평), 건물연면적 2만5713㎡(7778평)에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지어졌다.
그러나 화성시는 청사 준공 5년만에 물품창고와 기사대기실이 있는 ‘부속동 창고’(1379㎡)를 개축해야 하는 입장에 처했다.
이는 조직 개편으로 인해 본청 내 사무실이 부족해지자 단층이었던 부속동 창고를 3층 규모로 증축해야 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당시 본청 내 사무실이 부족해지면서 부속동 창고를 별관으로 증축하고 인재육성과와 지역개발사업소, 교통행정과 등 일부 부서를 이전시켰다”고 말했다.
시는 부속동 증축에 이어‘여성가족과와 해양관광과’ 사무실을 이전시키기 위해 올 2월 남양동 1365-7번지 상 건물을 임차하는 사태를 빚었다.
시는 보증금 1억에 월 550만 원의 임대료를 내고 2년간 별관 건물을 임차하는 등 10년도 내다보지 못한 청사 건립 계획 탓에 이중으로 시민들의 아까운 혈세를 낭비하고 있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화성시 청사 구조가 사실상 활용도 면에서 떨어지도록 설계되었다”며 “관공서는 박스형으로 지어야 활용도를 최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계산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가 자구책으로 별관 건물을 임대해 사용하고 있지만 그래도 본청 내 공무원들은 협소한 사무실에서 현재 근무하는 등 근무환경 개선이 시급한 형편이다.
공직 사회 내부에서 조차 ‘청사 이전 문제’를 조심스럽게 거론하고 있는 분위기에서 담당 부서인 행정자치과는“청사 이전 계획은 없다”고 잘라 말한다. 시 행정자치과 담당 공무원은“청사 이전 문제가 윗선에서 거론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현재는 계획이 없다”며 “인구 50만에 이르면 구청 체제로 전환돼 본청 사무실이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결국 시는 청사 준공 8년만에 ‘사무실 수용 능력 한계점’에 부딪힌 셈이다. 시는 인구 50만을 기대하며 별관 건물을 계속 임차해 사용해야 할지, 지금이라도 청사 이전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뤄 나갈지 재검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