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에 대한보고 과정에서 위기대응 능력에 허점이 드러남에 따라 기존의 ‘위기정보상황팀’ 을 ‘국가위기상황센터’로 확대 개편키로 했다.
청와대는 22일 “국가위기상황의 효율적인 관리 및 대응을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위기상황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국가위기상황센터장은 외교안보수석이, 산하 팀장은 비서관급이 맡게 되며 위기관리 전문성 인력을 추가로 확보할 방침”이라며 “조직의 장(長)은 외교안보수석이 맡되 재난과 사회분야는 정무수석과 긴밀히 협조하는 체제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위기상황 발생시에는 센터장인 외교안보수석이 대통령과 대통령실장에게 즉각 보고하고 관련 수석들에게도 그 내용을 동시에 통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관계장관 대책회의, 긴급 수속회의 개최 등의 후속 조치를 협의하게 된다.
청와대는 아울러 위기상황센터의 업무도 대폭 개선, 포괄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위기관리대응 매뉴얼도 ‘개성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태 대응 매뉴얼’처럼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내용을 마련해 위기 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실효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더불어 군·경의 인력 4∼5명을 증원하고 민간으로부터도 직보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이처럼 청와대가 위기대응시스템 개편에 나선 것은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이 발생한 뒤 8시간 30분, 청와대 보고 뒤에도 2시간여 만에 뒤늦게 대통령에게 보고되는 허점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대변인은 “기존 대통령실 내 위기정보상황팀은 과거 NSC 사무처의 ‘위기관리센터’를 재편한 대통령실장 직속의 한시 조직으로서 그동안 위기상황 전파와 처리 업무를 주로 맡아왔다”면서 “9월말까지 성과를 평가한 뒤 최종 운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금강산 사건을 계기로 조기 개편방안을 확정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