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미국 경제가 2분기(4월~6월)에 코로나 19사태로 마이너스 32.9%라는 사상 최악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30일 미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 같은 2분기 역성장은 시장과 전문가들 예상과 부합된 것이지만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커다란 파장을 불러올 조짐이다.
지난 1분기(1월~3월)에는 마이너스 5%를 기록했었다. 2분기는 이의 여섯 배가 넘는 역성장이다. 지금까지 10년 가까이 이룩한 미국의 경제 성장 성과가 일거에 사라졌다는 평가다.
1947년부터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미 분기 성장률은 1958년 2분기의 마이너스 10.1%가 최악이었다. 금융위기 정점인 2008년 4분기에도 마이너스 8.4%에 그쳤다.
그런 만큼 2분기는 종전 최악의 기록보다 세 배나 나쁜 극심한 역성장이다. 대공황 때인 1932년에도 연 성장률은 마이너스 12.8%에 불과했다.
소비지출, 기업 투자, 재고량, 수출입, 주택시장 등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GDP는 2분기에 이미 역성장에 달한 1분기보다 더 위축되고 축소되었다. 미국은 코로나 19 창궐이 본격화한 3월 중순부터 주민 이동과 영업 활동을 제한하는 방역 대책을 실행했으나 한 달이 지나지 않아 여러 주들이 이를 포기하거나 완화하며 경제 재개방에 나섰다.
그럼에도 엄청난 경제 충격과 타격은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2분기 실적이 말해주고 있다.
한편 미국의 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 대비인 만큼 3분기 성장률은 플러스 반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국과 경쟁하는 중국은 코로나 19 최초 진원지로 고통 받던 1분기에는 직전분기 대비 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 9.8%를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기저효과로 플러스 11.5% 성장했었다.
그래도 미국은 올해 전체 성장률이 마이너스 9%에 달할 것으로 IMF와 미 연준에 의해 예측되고 있다. 내년에는 6%에 육박하는 플러스 반등이 예측되고 있지만 11월3일 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2분기 경제 성적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코로나 19 미숙 대응에 이은 커다란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