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1일 북측 초병에 의한 금강산 관광객 故박왕자씨 총격 피살 사건과 관련 "총격은 정지해 있거나 천천히 걷고 있을때 100m 이내의 거리에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을 조사중인 정부합동조사단(단장 황부기)의 김동환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총기분석실장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지난 27일~28일 실시한 모의실험 결과 발표를 통해 "총격은 100m 이내의 거리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되며"의탁사격(고정된 장치에 총을 올려놓고 쏘는 것)일 경우에는 100m, 추격 중일 때는 60m이내의 거리에서 사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또 박씨가 피격 당시 정지 혹은 천천히 걷고 있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만약 빠른 속도로 달렸을 경우 총탄이 들어간 자리와 나간 자리가 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발사 위치와 관련 "박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2시 방향과 또는 4시~6시 방향으로 추정된다"면서"각각 2발이 발사되었을 가능성과 전후방에서 각각 1발씩이 발사되었을 가능성이 모두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에 앞서 합동조사단 단장인 황부기 통일부 회담연락지원부장은"북측의 주장이 타당한지 검증하기 위해 박씨와 신체조건이 유사한 50대 여성을 통한▲산책 또는 질주시 이동거리 소요시간 측정 ▲사격거리 또는 사격 방향을 추정하는 탄도실험 ▲다양한 사거리별 사격실험 ▲사건발생 시간대의 사물 식별 시험 ▲총성인지 실험 등 5가지 모의 실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황 단장은"실험한 날짜에 안개가 끼어 있어 확실하지 않으나 대체로 남녀식별거리는 70m 정도"라며"모의실험이 현장과 다른 측면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가지고 관광객임을 알았다 몰랐다 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합동조사단의 방북을 통한 진상조사가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져서, 제기되고 있는 모든 의혹들이 투명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