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4일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 김옥희씨의 공천관련 뇌물수수 사건과 관련, 청와대와 검찰의 축소·은폐 의혹을 제기하며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등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박주선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대통령 친인척 비리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특검법안 발의 및 특검 임명관련 법안을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청와대의 사건 수사방향과 제한방침에 검찰이 무조건 복종해 수사를 왜곡축소하고 있다”며 검찰은 이 사건의 수사 부서를 금융조세조사부가 아닌 특수부로 바꿔 전면적이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박 최고위원은 특히 청와대 민정수석과 금융조세2부 부장 검사와의 인연으로 사건을 금조부에 배당했다는 언론보도와 관련해 “이 말은 사건을 축소·날조하기 위한 안성맞춤 부서가 금조부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며 “청와대와 검찰이 공모해서 사건을 축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최고위원은 또 “청와대가 수사권 내지 조사권도 없으면서 입수한 첩보를 무슨 이유로 누구를 상대로 어떻게 조사해서 첩보와 정보를 가공했는지 그 과정과 이유를 철저히 검찰에서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검찰이 수사 부서를 변경하고 철저하게 수사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 사촌 처형이 주도한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비리 진상규명특위’를 설치하겠다”며 “모든 당력을 집중해 비리관련 첩보수집과 동시에 강력한 수사를 촉구하고, 특검 임명관련 법안을 제출하고 필요하면 국정조사까지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영길 최고위원도 “검찰은 친박연대 수사에 비해 현저히 불공정한 수사를 하고 있다”며 “30억 이상의 공천헌금을 제공한 김종원 이사장을 바로 수사하고 구속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최고위원은 또 이 사건을 단순 사기 사건으로 규정해 금융조세조사부에 배당한데 대해서도 “뇌물죄라면 공무원 신분이 필요하지만 선거법 위반의 경우 누구든 대상이 될 수 있다”며 축소 의혹을 제기하면서 “특수부에 재배당해서 확실히 수사하라”고 압박했다.
그는 특히 청와대가 이번 사건을 6월에 인지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5천만원 이상의 현금을 거래할 경우 재경부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자동적으로 신고되기 때문에 돈을 준 2~3월 사이에 반드시 적발되었을 것이라며 그동안 단순사기사건으로 만들기 위한 공모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 김옥희 씨는 공천장사를 위해 대상자를 광범위하게 물색했음이 백일하에 드러났다”면서 “대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의 특성상 드러난 부분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세간의 의혹을 증명해 주고 있는 사례”라고 주장했다.
박 대변인은 “고구마 줄기 달려 나오듯이 계속 불거져 나올 부패의 연결고리를 중간에서 끊어버리고 단순 사기사건으로 축소 은폐해서는 결코 안된다”며 “검찰은 이번 사건을 단순 사기사건이 아닌 구조적이고도 제도적인 선거사범이라는 전제하에 사건을 공안부로 넘겨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부성현 부대변인은 “검찰이 공안부로 이 사건을 배정하지 않을 경우 특검 수사는 불가피하며 이 문제에 대해 다른 야당과 공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