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6일 청와대가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내정자 등 3개부처 장관에 대한 임명을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고 강행하자 “야당에 대한 선전포고”라고 비난하면서 향후 원구성 협상에 응하지 않을 뜻을 밝혀 여야 관계가 다시 경색국면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긴급 의원총회에서 “여야 원내대표간 합의를 묵살한 것이고 대화와 타협에 의해 이뤄지는 의회주의를 파괴한 것”이라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책임은 독선적인 청와대와 무기력한 한나라당이 전적으로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작년 대선이 한창 진행되고 있을 때 많은 지식인들이 ‘이제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뒤로 돌릴 수 있는 세력은 없다. 설령 한나라당이 집권한다고 해도 민주주의를 어떻게 하겠냐’ 는 말을 서슴지 않고 했던 기억이 난다”면서 “그런데 이명박 정권은 완전히 민주주의를 10년전, 20년전으로 되돌려놓으려고 하는 일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원혜영 원내대표도 “이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가 선행되지 않는 한 국회 의사일정에 협조할 수 없다”며 “원구성 협상과 감사원장 청문회도 불응할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는 “청와대는 삼권분립 원칙을 존중해야 하고 입법부 경시태도를 버리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청와대의 재발방지 약속 없이 강행되는 장관임명을 결코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밝힌다”고 강조했다.
김종률 의원도 “대통령의 헌법무시, 비민주적 행태의 신호탄”이라며 “이 대통령에게 헌법은 장식품인듯 하다”고 쏘아붙였다. 그는“인사청문회 무시는 헌법상 보장된 정당정치를 무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안병만 내정자는 외대 편입학 의혹으로, 장태평 내정자는 재산 누락 신고 의혹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부성현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법과 원칙을 강조한 이명박 대통령 스스로 3권 분립의 헌법 정신을 부정했다”면서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은 장관임명으로 인한 국회 파행을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헌법에 보장된 입법부의 역할을 무너뜨리며 행정독재를 본격화 한 것”이라며 “과거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독재정권의 연장이자 헌법을 위반하는 대통령의 출현”이라고 비난했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장관 청문회를 규정한 국회법의 취지는 장관에 대해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자는 것인 데 청와대가 형식적 논리를 들어 장관 임명을 강행한 것은 국민을 무시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다만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장관 임명 강행은 청와대가 청문회를 할 시간을 추가로 더 줬는데도 국회를 파탄 낸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며 여야를 싸잡아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법에 명문으로 규정된 절차와 시한을 두 정당이 몰랐다면 책임을 지고 있는 양당 대표들은 자격이 없는 것이고 알면서도 그랬다면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