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추미애 논란에 여론조사 국민의힘 지지율 상승

野 '추미애=제2의 조국' 전략

강민재 기자  2020.09.12 09:03:46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휴가 논란이 정국의 핵으로 부상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이를 '제2의 조국 사태'로 규정하며 확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추 장관 아들의 논란이 조국 사태와 유사하지만 확장성이 낮고 조국 사태 때 인사청문회와 같은 이목이 집중되는 정치적 이벤트가 부재해 장기적으로 이 문제를 끌고 나가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7일 비대위 회의에서 "추 장관 (아들이) 엄마 찬스로 특혜성 황제 군복무를 한 것을 지켜보는 국민들은 조국 사태 때 교육의 공정성을 무너뜨린 조국 아빠 찬스의 데자뷔라고 느낀다"며 "법무부 장관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박진 의원도 지난 9일 비대위원장-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지난 조국 사태에서도 봤지만 지금 국민이 가장 분노하는 것은 문재인 정부가 강조했던 공정의 원칙이 무너지는 것"이라며 "공정해야 할 법무부 장관에게 특혜, 외압, 청탁 의혹이 발생한 것만으로도 여당은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상승했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50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9월 2주차 주중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2.5%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 국민의힘은 전주보다 1.8%포인트 상승한 32.8%를 기록했다. 민주당은 4.1%포인트 하락한 33.7%였다.

 

국민의힘은 공정성, 권력형 비리라는 측면에서 추 장관과 조 전 장관을 겹쳐보고 있다. 실제로 조 전 장관에 대해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한 것도 딸 관련 입시 비리 의혹이 불거지면서부터였다.

조국 사태는 지난해 8월14일 조 전 장관(당시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본격적인 막이 올랐다. 이미 법무부 장관 내정 직후부터 위장전입 및 매매,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 전력 의혹 등이 제기된 상태였다.

청문요청안이 국회에 제출된 뒤로는 조 전 장관의 딸 장학금, 인턴, 논문 공동저자 문제가 불거졌다. 특히 조 전 장관의 딸이 고등학교 재학 중 대한병리학회에 영어 논문을 제출하고 제1저자로 등재됐다는 점에 대한 의혹은 여론을 극도로 악화시켜 국민청원, 시민단체 시위 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조 전 장관 딸에 대한 의혹이 불거진 초기인 지난해 8월22일 황교안 당대표는 "조국은 정의를 외치면서 특권층을 공격해왔다. 그런데 정작 자신은 온갖 기득권과 특권을 누리면서 살아왔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분노한 민심을 직시하기 바란다. 즉각 조국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고 이미 너무나도 깊이 상처받은 우리 국민들께 직접 사죄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대한민국의 선량하고도 평범한 학생, 부모, 국민의 삶을 강탈해간 인물이 지금 국민의 삶을 빼앗은 자가 지금 법무부 장관을 하겠다고 한다"며 교육 공정성·권력형 특혜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추미애 장관 아들 의혹에 대한 현재 당 지도부의 발언도 매우 유사하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9일 비대위원장-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물의를 빚는 법무부 장관에 대해 대통령께 묻는다. 어떻게 정의를 준수해야 할 법무부 장관으로 정의와 공정에서 먼 사람을 앉혀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드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대통령이 아무 말도 안 하고 그대로 묵인하는 태도를 취하는데 분명한 태도를 취해줬으면 좋겠다"고 촉구했다.

리얼미터는 추 장관 아들의 병역 특혜 논란이 문 대통령과 민주당을 향한 20대와 남성의 민심 이반을 촉발한 것으로 해석했다. 다만 국민의 힘의 폭로전이 당 지지율로 이어졌는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