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日스가 "韓 징용 문제 수용 안하면 한·중·일 서울 정상회담 불참"

'외교 장관 회의로 격하' 대안 부상

강민재 기자  2020.10.13 06:36:10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한국 정부가 강제 징용 문제와 관련된 일본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올해 한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참석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12일(현지시간) 마이니치는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수용 가능한 조치가 없다면 스가 총리는 한국을 방문하지 않겠다고 한국 정부에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같은 요구를 수용할 가능성은 낮아 한중일 회담 역시 연내 개최를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 9월 말 강제동원 배상 소속의 피고인 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 정부가 대응에 나서지 않는다면 스가 총리는 한국을 방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한국 법원이 압류한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을 현금화하지 않겠다는 보증을 요구했다.

 

마이니치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놓고 일본 내에서는 보수층을 중심으로 한국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스가 총리의 결정 역시 이같은 일본의 여론을 반영, 강경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스가 총리의 강력한 대응으로 한국 정부의 양보를 끌어내겠다는 일본 정부의 의도가 섞여있다고 부연했다.

 

일본 정부 측 소식통은 "일본 기업의 현금화 우려가 계속되는 한 스가 총리의 한국 방문은 불가능"하다며 "연내 회담이 개최되긴 힘들 것"이라고 했다.

 

마이니치는 또 한국 외교 당국자를 인용해 "한국 역시 연내 (정상회담 개최는) 어렵다는 판단"이라고 전했다.

 

다만 일본 정부는 한중일 회담이라는 고위급 대화의 틀은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다.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가 연기됨에 따라 외교부 장관급 회의를 실시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한중일 정상회담은 3개국이 돌아가면서 개최한다. 작년 정상회담은 12월 중국 청두(成都)에서 열렸다.

 

한국 정부는 올해 한중일 정상회담을 서울에서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