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비수도권과 해외유입 감염 확산세 심각…"최악 대비해야"

주간 평균 일일 확진자... 비수도권 17.1→23.3명, 해외유입 18.3→21.7명

강민재 기자  2020.11.10 07:12:05

기사프린트

[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

8월 이후 수도권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추위가 시작되는 10~11월을 지나면서 충청, 호남, 강원 등 비수도권과 해외유입을 통해서도 증가하고 있다.

 

방역당국으로선 유행 차단을 위해 수도권 외 비수도권에 해외유입까지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 삼중고에 놓인 것이다. 하루 250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해도 중환자 치료가 가능하다던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격상을 언급하고 있는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비수도권, 해외유입 확진자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는 한편,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방역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10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하루 평균 국내발생 확진자는 88.7명이다. 이는 직전 1주인 지난달 25~31일 86.9명보다 1.8명 많은 것이다.

 

같은 기간 지역별 일일 확진자 수 평균은 수도권 65.4명, 비수도권 23.3명이다. 전주 대비 수도권은 69.7명에서 4.3명 감소한 반면, 비수도권은 17.1명에서 6.2명 증가했다.

 

11월 들어 1~9일 발생한 지역사회 신규 확진자는 평균 93.1명인데 이중 수도권 지역은 66.4명, 비수도권은 26.6명이다. 비수도권의 비율은 전체의 28.5%다. 이는 수도권 유행이 한창이던 9월1~9일 25.3%, 추석 연휴가 포함됐던 10월1~9일 23.7%보다 높은 비율이다.

 

특히 11월 비수도권 감염 확산을 보면 특정 권역이 아닌 여러 권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비수도권 중에서는 충청권의 확진자 증가세가 뚜렷하다. 지난달 4~5명대에 머물던 주간 일일 평균 확진자 수는 이달 첫째주 14.1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천안·아산 지역의 직장, 콜센터 등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확진자 수가 늘어났다. 이에 충남도는 지난 5일 오후 6시부터 두 지역에 1.5단계 조치를 시행 중이다.

 

강원권에서는 원주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다수 증가하면서 지난달 25일부터 31일까지 주간 평균 일일 확진자는 4.71명으로 대폭 상승했다. 이달 첫째 주에는 2.28명으로 감소했지만, 주간 평균 일일 확진자 수가 1명대에 불과했던 10월 초와 두 배 가량 더 많다.

 

지난달 초 주간 일일 평균 확진자가 10명을 기록했던 경남권에서는 지난달 말 2.6명으로 줄었지만, 이달 초 들어 다시 4.4명으로 증가했다. 경남 창원 일가족 제사모임을 통한 집단감염이 지인과 직장동료, 그들의 가족에게 전파됐다.

 

이 외에 호남권, 경북권에서는 평균 확진자 수가 1명대를 보이고 있지만 호남권에서는 순천 지역 금융기관 집단감염이 발생해 여수와 광주로 전파됐고 경북권에서는 대구 서구 예수중심교회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자 증가세도 안심할 수 없다. 이달 1일부터 7일까지 주간 일일 해외유입 확진자 평균은 21.7명으로, 전주 18.3명에서 3.4명 증가했다.

 

최근 한 달간 양상을 보면 일평균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10월11~17일 18.0명에서 10월18~24일 20.0명, 10월25~31일 18.3명, 11월1~7일엔 21.7명으로 증가했다.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자, 전 세계 확진자는 누적 5000만명을 넘어선 상황이다. 이에 국내 해외유입 확진자도 점차 증가세를 보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해외유입 확진자를 통한 지역사회 감염도 완벽하게 통제되지는 못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오전 0시부터 이달 9일 0시까지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 1598명 중 해외유입 확진자와 접촉한 '해외유입 관련 확진자'는 7명(0.4%)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1일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설명하면서 "연말까지 180여개의 전담 중환자병상을 확보하며 이럴 경우, 하루 평균 250여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해도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유행 경로 다양화로 확진자가 급증할 것을 우려해 연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을 언급하며 확산 방지에 안간힘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외에 비수도권과 해외유입 감염 확산세도 심각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확진자는 50명, 100명, 150명씩 일정하게 늘지 않는다. 갑자기 300~400명 이상 증가한다"며 "여름과 겨울 방역 상황은 매우 다르다. 또 일상 감염 위험성이 커진 상황에서 비수도권이라고 감염에 안전하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8~9월에 주로 농번기 일손을 위해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에서 노동자들이 많이 들어왔지만, 지금은 유럽이나 미주 지역 등 다양한 곳에서 입국자가 들어오고 있다"며 "그만큼 확진자가 들어오는 경로가 확대된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한 겨울이 되기 전 정부가 하루빨리 비수도권 및 해외유입 확진자 증가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 교수는 "정부는 매번 중환자 병상이 충분하다고 하지만, 현재처럼 확진자가 많이 늘어나지 않을 때 충분한 것"이라며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경우 중환자 병상뿐 아니라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생활치료센터, 의료진과 방역물품마저 부족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방역은 과학이지만, 시간도 중요하다"며 "최악의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방역·의료체계를 철저하게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 유행할 경우(트윈데믹)를 대비해 독감-코로나19 동시 검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천 교수는 "현재 의료기관에서는 열이 펄펄 끓는 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만 시행하고 있다. 음성이 나온 환자는 병원으로 다시 찾아와 독감 검사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독감 환자와 코로나19 환자를 제대로 구분하기 위한 동시 검사 체계가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