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교착상태에 빠졌던 4조원대의 추가경정예산안을 금주 중에 합의처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추가삭감을 금지하는 대신 기존 삭감액 5977억원의 범위내에서 민생지원방안을 다시 논의하는 조건이다.
한나라당 홍준표·민주당 원혜영·선진과 창조의 모임측 권선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3자 회담을 갖고 추경안의 금주내 합의처리에 노력하고 추가삭감 금지, 기존 삭감액 5977억원의 범위내 고유가 및 고물가로 인한 민생대책 예산 편성 재논의 등 3개항에 합의했다고 민주당 조정식 원내대변인이 회담 직후 밝혔다.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도 회동 직후 기자들을 만나 “지난 11일 예산결산특위 소위를 통과한 추경안(4조2677억원)에서 추가삭감은 없으며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보조금에 대해 더이상 시비를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야 3개 교섭단체는 이날 오후 원내대표와 각 교섭단체 예결위 간사가 참석하는 6인 회담을 열어 민주당이 요구한 대학생등록금 및 노인틀니 지원 등 민생예산 6000억원 안팎의 확충 방안을 협의키로 했다.
한나라당은 대학생 등록금, 노인 틀니, 경로당 난방비 등 민생안정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는 민주당의 요구에 대해 해당 항목을 추경이 아닌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과 당초 예결위 소위안의 골격이 그대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민주당은 이 같은 조정안에 대해서도 “대학생 등록금과 노인 틀니 지원 등 이른바 민생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자당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단 이유로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와 한나라당과 재차 ‘충돌’을 예고했었다.
한편 여야는 일단 민생분야 증액 편성이라는 큰 틀에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은 데다 일부 항목에 거의 의견 접근을 이룬 만큼 민주당이 당초 요구한 항목 중 일부는 추경에 반영하고, 일부 서민용 예산에 대해선 내년 본예산에 반드시 반영한다는 약속을 한나라당이 보장하는 ‘단서조항’을 붙이는 선에서 합의하여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여야는 이날 오후 협상 결과에 따라 오는 18~19일 중 예결위 전체회의와 본회의를 잇달아 열고 추경안을 처리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