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시멘트에서 외국산보다 발암물질이 최대 50배나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나라당 박준선(용인.기흥)의원은 7일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영월군과 한양대학교가 공동 조사한 ‘시멘트사 주변마을 환경영향 용역’ 결과, 영월 시멘트 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의 건강 피해와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태”라고 밝혔다.
박 의원에 지난 2월13일 열린 '시멘트 공장 사장단과 환경부 차관과의 간담회 결과 보고서' 에 따르면 2006년 국립과학원 조사 결과 국내 시멘트 제품 중에 발암물질인 6가크롬이 중국, 일본 제품보다 3배~50배 까지 높게 검출됐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박 의원은 “국내 시멘트에 대한 또다른 분석시험에서 국산 시멘트의 6가크롬이 0.09∼1.70㎎/ℓ로 나왔다”면서 “이같은 수치는 중국산 시멘트 0∼0.01㎎/ℓ에 비해 9∼170배나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처럼 국내 시멘트의 유해성분 수치가 높은 것은 시멘트사들이 국내에서 수거되는 유해성 산업쓰레기를 소성로의 연료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폐타이어, 석탄재, 철강 슬래그 등까지 수입해 쓰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또 자료에서 시멘트공장 주변지역 주민들과 서울지역 주민들의 모발 중 중금속 검사를 비교 실시한 결과, 시멘트공장 주변 주민들이 알루미늄 1.5∼2.25배, 납 2배, 크롬 4.6∼6.8배, 카드뮴 1.7∼2.8배, 안티몬 1.1∼4배 등 유해 성분이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환경부가 지난해 말 구성한 민관합동 조사단을 구성해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밝힌 데 대해 사실상 지역 주민들이 환경부 안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깨끗한 시멘트를 만들기 위한 시민의 모임' 최병성 대표는 이날 증인으로 출석해 "정부는 민간협의를 통한 (시멘트 소성로를)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시멘트 공장의 이익을 대변하는 악법을 만들고 있다"며 "시민단체나 민간협의회 모두 개선안을 합의한 적이 없고, 주민들도 동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