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지난 6월20일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일자리 100만개 창출을 위한 인천의 전략과 방안’토론회의 후속조치로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의 모든 행정력을 일자리 만들기에 집중하기로 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시는 경제자유구역 조성이 완료되는 2020년까지 143조6000억원이 투입되어 90만명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95만3000명의 취업지원과 고용유발 효과가 이뤄 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분야별로는 경제자유구역 운영과정에서 59만1000명, 청년층 9만1000명, 노인층 9만1000명, 여성층 7만8000명, 장애인 등 취약계층 4만9000명이다.
이번 시의 계획은 그동안 지적되어 온 건설과정의 고용효과를 일자리 창출 수에서 제외하고 각 사업별 구체적인 일자리 산출방법과 사업비 투자계획을 제시해 신뢰성을 확보했다.
인천시는 100만개 일자리 창출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서 이창구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25명의 추진단을 구성하고 시의 모든 사업을 일자리 만들기와 연계한다는 방침으로 내년부터 사업계획을 수립할 경우 일자리 창출 목표와 고용효과를 제시하도록 하여 인터넷을 통해 분기별 공시하고, 민간기업의 채용규모를 상·하반기 조사·발표해 지역일자리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운 취업 취약계층을 위해 현재 인천지역에 6개뿐인 사회적기업을 2020년까지 50개이상 육성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조례를 제정해 지원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인적자원의 개발과 효율적 활용을 위해 인력의 대표 수요기관인 인천상공회의소 등 8개기관과 인천대학 등 24개기관과 협의체를 구성해 취업정보를 일원화하고 상호 협력사업을 개발하기로 했다.
최근 환율 및 원자재가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에 대해서도 경영안정자금을 년차별로 확대하고 수혜 대상을 넓혀 나갈 계획이며, 소상공인에 대한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등도 관계부처에 적극적으로 건의하여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국정 목표 300만개 일자리 창출의 중심에 있는 만큼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을 당부하고, 일자리 100만개를 만들어 내기 위해 경인지방노동청 등 노동관계 부서와 협조체계를 구축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