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참여정부시절 정부광고 특정 언론사에 편중”

김부삼 기자  2008.10.16 19:10:10

기사프린트

참여정부 시절 정부광고가 특정 언론사에 편중됐다며 ‘코드 광고’ 의혹을 제기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은 16일 언론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언론재단이 수행하는 정부광고대행 중 경향신문의 경우 2004년 전체 정부광고의 10.9%를 차지했으나 정권 말인 2007년에는 12.8%로 증가했고, 한겨레신문 역시 같은 기간 13.1%에서 14.5%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의원은 “반면 동아일보는 같은 기간 7.5%에서 5.5%로 지속 감소했고, 광고건수 기준으로는 이 기간 동안 서울신문이, 광고료 기준으로는 중앙일보가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국 18개 지방법원, 38개 지원의 경매부동산 매각공고, 공시최고 공고 등 법원을 대행해서 신문에 게재하는 광고 역시 경향신문은 2004년 전체 공고금액의 4.8%에서 2007년 7.2%로 증가했고, 한겨레 역시 같은 기간 5.0%에서 6.6%로 증가한 반면 조선일보는 4.1%, 동아일보는 0.7% 감소했다.
한 의원은 또 “구 신문회관 입주단체인 14개 협회 및 위원회의 경우 신문회관을 프레스센터로 재개발하면서 무상입주 조건으로 재개발에 동의하였기에 임대료 무상까지는 이해할 수 있으나 관리비조차 전혀 내지 않는 것은 문제”라며 “언론노조는 임대료는 무상에 관리비는 평당 2만원씩 내고 있었으나, 문제는 언론개혁시민연대가 무상 입주할 근거가 없고 언론노조가 임대료를 내지 않는 기준도 없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언론재단이 관리하는 프레스센터의 경우 입주단체의 임대료 및 관리비에 대한 철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기준에 따라 제대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