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7개 중점 협업과제 선정…협업정원·협업SOS 활용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정부가 부처 칸막이를 없애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전국민 고용보험 추진체계 구축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16일 정부 영상회의 시스템인 '온-나라 PC영상회의'를 활용한 기자단 정책설명회에서 '2021년 협업과제'를 공개했다.
과제는 중점 협업과제 7개, 우수 협업과제 18개, 기관관리 협업과제 229개다.
이중 중점 협업과제는 기관 자체 심사, 전문가 심사, 3700여명 국민 심사를 거쳐 선정된 것이다. 국민 심사는 국민의 실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칠 과제 선정을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된 절차다.
7개 과제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진단기기 개발 지원 ▲전기요금 복지할인 사각지대 해소 ▲실시간 소득파악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국민 고용보험 확대 지원 ▲사회복지서비스형 일자리사업 모델 개발 ▲응급의료 거버넌스 구축 ▲스마트 케어팜(치유농장) 조성 사업 ▲국가자격 서비스의 초연결 플랫폼 구축 등이다.
행안부는 협업에 참여하는 관계기관 간 과제 추진 초기부터 협력하도록 과제별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수시로 추진 상황과 성과를 공유하도록 했다.
특히 행안부가 TF에 참여해 협업 추진에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응책 마련을 지원한다.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협업정원'을 투입한다.
우수 협업과제와 기관관리 협업과제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리·지원한다. 이때 협업 현장의 어려움을 실시간 접수 받아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는 '협업SOS' 창구를 활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