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재오-이방호-정두언 전면 나서야”

김부삼 기자  2008.11.02 16:11:11

기사프린트

한나라당 공성진 최고위원은 2일 “정부에 위기관리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없다”며 “인적쇄신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이재오-이방호 전 의원, 정두언 의원이 여권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 이재오계의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공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실용정부 안착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소명의식과 책임감, 역사의식을 가진 분들이 필요하다”며 “이명박 대통령과 함께 피땀을 흘린 이재오 전 의원을 비롯해 이방호 전 의원, 정두언 의원 등이 국민들 앞에서 책임을 공유하면서 봉사해야 하지 않나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 최고위원은 이 전 의원이 정계에 복귀한다면 맡은 역할에 대해 “이 전 의원은 원외이기 때문에 당내로 들어오면 예기치 않게 (권력 다툼의)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며 “이 전 의원이 추진력 있고 치열한 사람이고, 대통령과 함께 호흡을 맞춰본 경험이 많으니까 대통령의 뜻을 정확히 읽고 추진할 수 있을 것이므로 국정의 한 축으로 일을 하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고 말해 총리직을 포함한 요직에 기용해야 한다는 시각을 내비쳤다.
그는 또 친박계의 반발을 의식한 듯 “정치적으로 부담되는 분들은 야당에도 있을 것이고, 당내에서도 정권의 추이에 따라 각을 세울 분들도 당연히 있을 것”이라며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기 때문에 당이 오히려 잘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이내믹스(dynamics)가 있어야 한다”며 “대세론으로 뒤덮여 있으면 오히려 발전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공 최고위원은 이 전 의원의 복귀 시기와 관련 “연말에는 금융위기도 있고 정기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할 개혁입법안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일단락된 후에 쇄신을 할 필요가 있다”며 “이 전 의원의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강의 계약이 연말까지 돼 있기 때문에 계약을 파기하지 않는 한 연내 복귀는 물리적으로 어렵다. 내년 4월이 1차 비자 만료기간인 만큼 그 전에 본인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당, 정, 청을 아우르는 인적 쇄신을 언급한 뒤 “쇄신의 폭은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대표 등 지도부의 결심 사항이지만 70~80% 지지율에서 출범한 이명박 정권이 30%를 넘나드는 지지율 급락을 겪은데 대해선 누군가 책임을 져야한다”면서 “땜질식 처방으론 안되고 개각 뿐 아니라 전폭적인 쇄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 최고위원은 강만수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경제팀 교체에 대해 “금융위기가 생겼다고 강 장관 날리라는 것도 문제지만 한-미 금융스와프를 체결했다고 해서 책임을 면한다는 것도 문제”라면서 “개인에게 책임이 있다고 하는 것은 문제고 경제팀의 문제는 조금 더 지켜보고 최종 판단을 해야 한다”고 유보적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