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소 무역연합회원 등 전국 소 무역상인 4000여명과 그 가족 10만여 명은 정부의 보따리상 규제에 일터를 잃고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관계당국에서 한번이라도 직접대화를 나누고 단속과 규제방안의 정책결정을 검토해 달라고 호소했다. 보따리 상들은 “관세청고시에 따라 일반여행객과 소 무역상인들의 물량범위를 똑같이 한다면 살아남을 보따리상은 한명도 없을 것”이라며 “관세청에서 단 한번이라도 방문해 대화를 하고 난 다음 정책결정을 해 달라”고 호소했다.
2일 사단법인 경기도평택항소무역연합회에 따르면 평택·인천·군산항 등지에서 중국으로 다니는 일명, 보따리 상들은 IMF여파로 인해 온 나라가 몸살을 앓고 있던 지난 1997년 정부지원과 소 무역상 진흥정책에 따라 평택항 등지에서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호를 타고 무역을 시작한지 10년이 지났다는 것.
이 연합회 측은 “IMF시절 넘쳐나는 실업자 속에서도 정말 이 시대에 새로운 수출·입 역군이 될 만한 건전하고 뜻있는 업종으로 판단해 이 사업을 시작했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중국 현지에 들어가 있는 중소기업의 손과 발이 돼 원·부자재 및 누락된 공산품, 수출원단,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생활필수품 등 각종 샘플을 저렴하고 체계적으로 운송해왔다고 밝혔다.
이들은 농·축·수산물의 불법반입 및 밀수는 근절돼야 하지만 건전한 소 무역상인들은 정부로부터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