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경기도시공사 광교신도시 조성사업 지연

김부삼 기자  2008.11.17 21:11:11

기사프린트

세계적인 금융위기 등으로 인해 광교명품신도시 조성사업이 1년 넘게 지연되면서 최소 1500억원의 추가 이자가 발생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임우영 도의원(한·파주1)은 17일 경기도시공사(이하 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달 말 연기된 비즈니스파크 공모를 비롯 에듀타운 등 광교신도시 특별계획구역 조성사업이 늦어지면서 재정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임 의원에 따르면 공사는 광교명품신도시 사업과 관련, 토지보상 등을 위해 은행차입금 2조3400억원과 국민주택기금 320억원, 지역개발기금 3756억원, 용지보상채권 1223억원 등 총 2조9599억원의 빚을 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공사가 1일 내야하는 이자만 4억원이며, 채권을 포함하면 1일 무려 4억5000만원에 이른다. 1년에 최소 1조5000억원에서 최대 1조6500억원에 이르는 이자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특히 공사는 이처럼 막대한 이자 부담에 불구하고 민간에 공급한 광교명품신도시 내 공동주택용지의 분양자금도 제대로 회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사는 지난달 말 현재까지 납부약정을 맺은 1조7600억원 중 1조5848억원 만을 회수했고, 1162억원의 미수금과 589억원에 이르는 회수 지연금으로 골치를 앓고 있다.
자금을 미수하고 있는 계약자는 디에스디삼호·에이치건설(830억원), 보람건설(333억원) 등이며 대한주택공사는 토지사용 가능시기 지연에 따라 589억원의 납부를 순연하고 있다.
임 의원은 “복리로 계산하면 공사의 부담은 훨씬 크다”면서 “이런 상황임에도 공사는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전체적인 자금계획 등에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경영개선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사업 전반에 대해 철저히 분석하는 한편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면서 “경영 개선을 위해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