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 열려
삼성전자·LG전자 등 대표 기업 8곳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목표에 전자·전기·전지업계도 힘을 보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산·학·연·관 협의체인 '전기전자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전자, LG전자, 삼성전기, LG이노텍, LS전선, 인텍전기전자,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전자·전기·전지업계 대표 기업 8개는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들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공감대를 주요 수요 기업, 협력사 등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전기·전자 산업은 연간 970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한 단기 과제로는 에너지 공정 효율 개선, 육불화황(SF6) 저감 기술, 사용후 배터리 재자원화 등을 제시했다. 또한 중장기 과제로는 절연 매질 전환, 차세대 전지 기술, 탄소 포집·전환 기술 등을 꼽았다.
진홍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부회장은 "탄소중립은 4차 산업혁명에 이어 또 한 번의 패러다임 대전환에 따른 전자 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신순식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부회장은 "탄소중립은 정체되고 있는 전기기기 산업에 새로운 활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온실가스 주범으로 지적돼온 SF6 가스를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데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순남 한국전지산업협회 부회장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이차전지는 탄소중립을 이끄는 핵심 산업"이라며 "전지 생산·재활용·폐기 등 전 과정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업계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여기에는 시설 투자를 위한 세액공제 확대, 온실가스 감축 인증 범위 확대, 고효율 기술 개발·설비 지원, 친환경 열원화 기술 개발 지원 등이 포함된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민간의 탄소중립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탄소중립 5대 핵심 과제'를 중점 추진할 계획"이라며 "건의 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관계 부처와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체 연료 기술, 공정 효율 개선, 제품 고효율화 등 혁신기술 연구 개발에도 집중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