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수십년 동안 공공청사와 공장 등으로 사용되며 시민들의 접근이 차단돼 왔던 부지들을 대거 매입, 이를 공원 등으로 조성해 시민들에게 돌려주는 ‘A+리턴프로젝트(Return Project)’를 추진하고 나섰다.
부지 매입비용만도 수천억원에 달하고, 아파트나 기업을 유치했을 때는 막대한 개발이익이 생길 수 있는 땅이지만, 이를 포기하고 시민들에게 돌려주겠다는 것은 유례가 드문 일이다.
안양시는 1일 “그간 추진돼 온 지역 내 주요 공공청사 및 공장 부지 4곳 9만9000㎡에 대한 활용을 계기로 ‘리턴프로젝트’ 개념을 도입키로 했다”며 “이를 계기로 막대한 개발이익 대신 시민들의 휴식,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리턴프로젝트를 본격화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필운 안양시장은 “시민들은 쾌적한 삶을 누릴 권리가, 시는 시민의 것을 시민에게 돌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들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일궈내는 게 최대 목표”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또 “이번 리턴프로젝트는 인구 유입과 기업유치 등을 위한 개발행위로 막대한 개발이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하고 ‘시민 삶의 질 높이기’에 초점을 맞춘, 재정이 여의치 않은 지자체로는 내리기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리턴프로젝트의 우선 대상은 안양4동 삼덕제지 부지(1만6000㎡)와 안양8동 가축위생시험소 부지(1만1000㎡), 석수1동 (주)유유 부지(1만6000여㎡), 안양6동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부지(5만6000㎡) 등이다.
◆아름다운 기부, 아름다운 환원
안양4동 삼덕제지 부지는 지난 2003년 이 회사 전재준(86)회장이 안양시에 무상 기증한 곳으로, 연말 안에 ‘삼덕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당초 전 회장의 기부 조건도 아파트나 상가 용도로 매각하지 않고 공원화 하는 것이었다.
안양시는 공원 조성을 위해 지난해 7월부터 모두 53억원의 예산을 들여 어린이 놀이터, 산책로, 잔디광장, 연못, 바닥분수 등의 설치를 마친 상태다.
1943년 공장이 설립된 이후 60여년 만에 시민들에게 되돌아가는 것인 만큼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 시민들이 직접 100만원이 넘는 소나무 30여 그루와 40여개의 벤치 등 시설물을 기부하기도 했다.
◆구도심 녹지 축
수령 50년이 넘은 수백그루의 나무들이 도심 속 녹지축을 이루고 있는 안양8동 옛 가축위생시험소는 내년 초쯤 만안근린 공원으로 새 단장 된다.
이곳은 경기도가 행정 목적으로 관리해 오던 잡종지로 그동안 매도 등 별다른 사용 계획이 없었다. 하지만 안양시는 이 부지를 공원화하기 위해 1998년부터 경기도와 매입협의를 벌인 끝에 2006년 어렵게 승낙을 받아냈다.
전체 매입대급 359억4700만원을 10차례에 걸쳐 상환 하는 조건이다. 이미 지난해 30억4000만원, 올해 41억4000만원 등 두 차례에 걸쳐 71억여원을 지불했다. 시는 이와는 별도로 조성 예산 25억원을 투입, 지난해 3월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내년 3월쯤에는 열악한 구도심을 대표할 녹지 공원을 완성할 방침이다.
◆공장터가 박물관 미술관으로
안양시는 석수1동 (주)유유 안양공장 부지의 일반 매각을 반대해 온 시민의 뜻에 따라 해당 부지를 지난해 240억여원(3년 분할상환)에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시는 부지를 박물관과 미술관이 조화된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건축설계경기를 공모한 상황이다.
내년 1월 공모가 끝나는 대로 적합한 업체를 선정, 본격적인 조성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공공청사 떠나는 자리, 시민 품으로
안양시는 현재 경북 김천 이전을 앞두고 있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부지의 매입, 활용 방안에서도 대한 큰 틀의 결정을 마친 상태다. 역시 “시민들에게 돌려준다”는 입장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부지는 그간 활용 여부를 놓고 지역 사회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곳.
안양시는 부지 내에 이미 건물 27개 동과 잔디밭, 수목원, 다목적 운동장 등이 조성 돼 있어 최고의 시민 공간으로 조성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가뜩이나 만안구와 동안구의 균형발전에 고심하고 있는 시는 이 부지를 시민 편의시설과 벤처산업 단지 등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문제는 15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매입비용이지만 분할 상환 등 방법을 동원, 시민에게 돌려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