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Global Inspiration, 세계속의 경기도’

김부삼 기자  2009.01.01 18:01:01

기사프린트

기축년(己丑年)의 새해 새아침이 밝어왔다.
민선 4기 김문수 지사가 이끄는 경기도는 새해의 도정 목표를 ‘경제위기 극복과 민생안정’으로 정하고 일자리 창출과 중소기업 육성, 재래시장 현대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도는 특히 경제침체로 취약계층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내년 예산을 위기를 맞는 저소득층을 돕기위해 이들 계층에 대한 지원을 대폭으로 늘렸다.
경기도는 새해 예산을 일반회계 10조751억원, 특별회계 2조9446억원 등 총 13조198억원으로 편성했다. 이중 1조2360억원을 경기침체로 위기를 맞은 가정을 무제한·무기한 지원해 주고 있는 ‘무한 돌봄사업‘ 등 기초생활보장 및 저소득 계층 지원사업에 배정했다.
도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지원 5310억원, 아동복지 지원 330억원, 자활지원 및 자활소득공제 360억원 등 저소득층 지원사업에 6010억원을 세웠다.
또 기초노령연금 3870억원과 독거노인 도우미파견 40억원 등 저소득 노인 생활안정 및 보호 확대에 4690억원을 투입하고 저소득 노인 2만여명에게 자립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321억원을 들여 베이비시터와 환경보호감시원 등의 일자리를 발굴할 계획이다.
아울러 저소득장애인의 생활안정 지원에 900억원, 장애인 생활시설과 직업재활시설 보강에 60억원 등 모두 970억원이 지원되며, 장애아동 부모들의 요청에 따라 올해 1100명인 재활치료교육 대상 아동을 내년에는 3200명으로 늘린다.
도는 지난달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특수사업으로 실시 중인 ‘위기가정 무한돌봄’사업에 315억원을 책정해 현행 법과 제도로 지원받을 수 없는 취약가정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무한돌봄 사업은 경기침체 속에 각 가정 주소득원의 실직 등으로 갑작스럽게 위기를 맞은 주민들을 무제한, 무기한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의료서비스 확대 및 건강증진사업에도 680억원을 배정, 내년 중으로 노후보건소 17곳을 증·개축하고 60만명에게 암 조기검진과 의료비 지원 혜택을 준다.
이밖에 맞벌이 가정의 증가에 따라 보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저소득층 자녀 보육료 4200억원과 영세아와 외국인근로자 자녀의 시간연장보육시설 활성화사업 에 130억원 등을 배정했다.
전업주부 재취업과 다문화가정 지원, 한부모가정 복지사업 등 전반적인 여성인권과 건강가정보호, 육성사업에도 340억원이 편성됐다.
도는 교육여건 개선사업에도 1조6890억원을 배정해 외국어교육 활성화에 110억원을 투입하고, 낙후지역 지원 및 명품학교 육성에 50억원, 방과 후 아이들을 돌봐주는 ‘꿈나무 안심학교’에 22억원 등을 투입한다.
도는 경기도를 21세기 문화중심지역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아래 전체 예산의 15%에 이르는 1조9270억원을 문화예술 진흥과 생활체육 활성화에 배정했다.
도내 박물관과 미술관 등 문화기반시설 구축·운영에 950억원을 지원하며 남한산성 등 문화재 복원과 보수정비사업, 문화재 방재사업, 경기도 바로알기 교육 등에 32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에 연천군 전곡읍과 남양주시 조안면에 각각 선사박물관과 실학박물관이 착공되며,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소재 경기창작센터는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한다.
도는 또, 경제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1620억원을 편성해 기업 육성 및 지원, 일자리 창출, 외국기업 투자유치, 차세대 성장 동력 육성, 과학기술 기반강화 등을 추진한다.
외국기업의 투자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외투기업 전용 임대단지 조성과 투자환경 개선에 130억원, 외국인 종합지원에 10억원 등 총 150억원을 지원하며, 지방경제활성화 차원에서 도로망 구축사업에 8860억원이 투입된다.
도는 건설 사업으로 의정부 동부간선도로 등 수도권 광역교통체계 구축과 김포 송포-인천 등 국가지원지방도 건설비 7400억원, 양평 항금천 등 34개 지방하천개수사업과 용인 송전천 등 21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1290억원 등을 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