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언론관련 법안 등 쟁점법안 처리에 반대하며 국회 본회의장 점거농성에 들어간 지 13일만인 6일 오전 농성을 풀었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밝힌 대국민 성명에서 “민주당은 민생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오늘 본회의장을 정상화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민주당은 본회의장 농성으로 인해 벌어진 일들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현재 법사위에 계류중이거나 각 상임위에 있는 법안가운데 합의가 가능한 민생 관련 법들을 먼저 신속하게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또 지난해 12월19일부터 이어졌던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정무위원회 등 3개 상임위 점거도 20일만에 해제했다.
정 대표는 “김형오 국회의장이 직권상정 자제를 선언했고, 1월 임시국회 추가소집도 없다고 밝혔다”며 “사실상 1월 중 직권상정 불가 방침을 국민과 야당에 약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주의를 살리고, 민생을 살리자는 생각 하나로 본회의장 문을 닫았고, 이제 같은 심정으로 그 문을 열고 나왔다”며 “민주당이 결단한 만큼 청와대와 한나라당도 MB악법 강행처리를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야간 이견이 없는 95개 법안 처리 방침과 관련, “8일까지 처리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며 “지금 법사위에 계류 중이거나 각 상임위에 대기 중인 법률 중에서 합의가 가능한 민생관련 법들을 신속하게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그러나 쟁점법안에 대해서는 2월 임시국회에서 절차를 밟아 논의할 것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12월19일 상임위 점거에 이어 12일간의 본회의장 점거 농성에 대해 “사즉생의 절박감에서 시작됐다”며 “의회민주주의 부정과 민주주의 파괴행위를 몸으로라도 막아내야 한다는 각오로 본회의장 문을 닫아걸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방송장악법을 포함한 MB악법을 저지해냈고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직권상정 강행기도를 무산시켰다”며 “국회를 통법부로 전락시키는 횡포에 맞서 의회 민주주의를 수호해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