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소속의 문희상 국회부의장은 7일 쟁점법안은 여야의 합의는 참으로 잘된 협상으로 여야 모두 이기는 순간이었고 각 당 지도부가 상생의 길을 찾는 계기가 됐다고 주장했다.
문 부의장은 이날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이번 결정은 입법부가 청와대와 정부의 시녀가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준 계기가 됐다”면서 “김형오 국회의장은 이번 협상 과정에서 입법부의 자존심을 지켜주었고 참으로 좋은 선례가 됐다”고 밝혔다.
문 부의장은 “참으로 잘된 협상”이라며 “여야 모두가 윈-윈하는 순간이었고, 각 당의 지도부가 상생의 길을 찾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민주당에 대해 “강한 야당으로 변신하고 있다”며 “강한 야당이 존재한다는 것은 여당의 입장에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강한 여당을 원한다면 강한 야당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거대여당의 일방적인 독주는 ‘아니오’를 말할 수 없는 분위기를 초래한다”며 “민주주의에 중요한 요소인 다양성을 죽이게 돼 결국, 민주주의가 무너지면서 국가의 미래도 어두워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번 국회의 결정은 입법부가 대통령과 청와대, 정부의 시녀가 아니라는 것을 확실히 보여준 계기가 됐다”며 “이번 협상과정에서 국회의장은 입법부의 자존심을 지켜줬다”고 말했다.
그는 여당에 대해서도 “여당 지도부의 결단도 돋보였다”며 “끝까지 강행처리를 주장했던 여당 강경파의 압박 속에서, 여당 지도부는 그 위험성을 끌어안으며 큰 결단을 내렸다”고 높이 평가했다.
그는 글 말미에 “어려움이 닥치면 이번 협상을 상기해야 한다”며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로 국민에게 신뢰를 주는 정치를 회복하고, 성숙한 국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