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2일 ‘국회 폭력방지법’을 당론으로 제출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반면 민주당은 청문회 개최 요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 폭력방지법을 당론으로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홍 원내대표는 “폭력 상태를 그대로 지속하게 된다면 2월 국회는 물론, 4월·6월 정기국회까지 폭력의 장으로 변질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희태 대표도 “국회 사무처와 한나라당이 (폭력과) 관계된 국회의원들을 고발했지만 신속하고 강력한 수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런 의지로서는 국회 폭력이 추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국회에서 폭력을 썼다는 이유로 의원직을 박탈당한 사람이 없기 때문에 상습적이고 추악한 폭력 사태가 계속되는 것”이라며 “국회 폭력이 일반 폭력과 똑같은 처벌을 받고 국회의원들이 폭력으로 인해 국회에서 쫓겨나는 선례가 생긴다면 국회 폭력은 없어질 것”이라며 거듭 엄정한 법집행을 주문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이 국회 충돌사태를 빌미로 여러 세력과 힘을 모아 야당탄압에 나서고 있다. 대통령까지 가세했다”며 “청문회를 통해 근본적 원인과 발단이 무엇인지 명명백백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일련의 국회사태의 근원적인 발단은 이명박 대통령이 무리하게 27건에 달하는 MB악법을 밀어붙이고 한나라당이 거수기 역할을 하면서 시작된 것”이라며 “실질적 발단은 (지난해) 12월18일 한나라당 외통위원들이 외통위 (회의장을) 봉쇄한데서 시작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나라당에 대해 “왜 남한테 뒤집어씌우는 일을 하나. 양심 없는 태도”라며 “나는 야당 대표로서 공식적으로 2차례에 걸쳐 사과의 뜻을 표했지만 오늘 이 때까지 한나라당의 책임있는 분이 제대로 사과했다는 보도를 보지 못했다. 기가 막힐 노릇”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이어 “한나라당과 이명박 대통령은 MB악법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모두 힘을 합쳐 민생경제를 챙기고 경제위기를 극복하는데 나서야 한다”며 “제2의 전쟁 운운하는 것은 국민을 업신여기는 잘못된 태도란 걸 곧 깨닫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