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낯뜨거운 고양시 ‘이율배반’

김부삼 기자  2009.01.15 21:01:01

기사프린트

고양시가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키 위한 천연가스자동차 보급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으면서도 시는 정작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디젤버스를 업무용 버스로 구입해 비난이 일고 있다.
특히, 동종 차량 가운데 다양한 편의성 사양들을 옵션으로 선택하는 바람에 고가(高價)로 차량을 구입해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다.
15일 시 등에 따르면 직원 출·퇴근과 업무용으로 사용할 버스를 구입키 위해 1억6000만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지난 12일 조달청을 통해 현대자동차의 디젤엔진을 장착한 ‘현대유니버스노블’에 대한 구입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시는 같은날 세계적인 추세와 정부 정책에 발 맞추어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14억원의 예산을 사용, 천연가스사용차량 70여대를 보급하기 위한 ‘2009년 천연가스자동차 보급사업 계획’까지 발표하며 천연가스차량 구입 독려에 나섰다.
시가 예산을 지원키로 한 보급대상차량으로는 시의 출·퇴근, 업무 용도와 같은 학교 통근ㆍ통학버스를 비롯해 시내ㆍ시외버스·마을버스·전세버스 노면청소차 등을 구입시 보조금으로 1600∼1850만원을 지원키로 해 크게 모순된 행위라는 지적이다. 이와함께 오는 6월 차량을 인도 받기로 하고 계약을 맺은 ‘현대유니버스노블’의 기본형의 가격은 1억4300∼1억5100여만원 사이에 기호에 따라 선택하는데 시는 1억4400만원짜리에 19가지의 옵션을 별도로 선택, 옵션비용으로만 1340만원을 더 추가해 1억5740만원에 계약을 맺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관내 출·퇴근외에도 시외 업무용도로 사용하는데 비해 천연가스버스운행시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가 많지 않아 디젤버스를 선택했다”면서”차량구입도 직접운전하는 운전기사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물어서 편의성에 따른 옵션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모(38)씨는 “관청의 모순과 이율배반적인 행위는 고사하고 시는 원활한 연료공급을 이유로 디젤차량을 구입하면서 민간인에게는 가스공급도 원활치 않다면서 보조금까지 주면서 구입을 독려하는 것이 말이되느냐”며””관공서 차량은 옵션을 줄여 예산을 아껴야하는데도 내 돈 아니라고 펑펑 써 대는 것 아니냐”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