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19일 청와대의 국정원장, 경찰청장 인사와 관련해, TK가 독식한 인사라고 비판했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인사는 이명박 대통령의 고향 출신, 친이로 병풍을 친 인사라며, 충성도 중심으로 사람을 선정한 게 아닌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들이 한두 번 실망하고 쌓이면 원망이 될 것”이라며 “자기와 친한 사람, 코드 맞는 사람만 찾지 말고 두루두루 폭넓게 인재를 골라 쓰는 탕평인사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여당이 하는 일은 5공으로 회귀하는 공안통치인 것 같다”며 “MB 주변에 성을 쌓아서 사태를 해결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국민과 소통하고 뜻을 잘 받들어서 신뢰받는 정권을 만드는 게 이 정권의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박병석 정책위의장은 이날 한 방송사 라디오에 출연해 “지난번 인사가 고소영 내각으로 표현되었다면 (이번에는) MB TK(대구-경북) 인사라고 하면 될 것 같다”고 비꼬았다.
박 의장은 “우선 MB의 측근 인사 중에서 TK 사람들을 고른 것”이라며 “특정지역의 새로운 부활이고 탕평인사와는 거리가 멀다”고 꼬집었다.
그는 주미대사에 내정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참여정부 인사 출신이라는 점에 대해 “주미대사는 권력기관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며 “권력기관장을 발표하면서 직접 관련이 없는 주미대사를 같이 발표한 것은 끼워넣기 물타기식”이라고 비난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한 방송사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에게 외면을 당한 정권이다 보니까 체제 결속과 강화를 위한 친정 체제를 구축한 것 같다”고 질타했다.
박 최고위원은 “권력기관일수록 합리적이고 양심적이고 소신있는 제3자적인 입장에서 운용할 수 있는 사람을 임명을 해야 한다”며 “대통령 측근 실세를 임명해버리면 대통령이 국정원장이나 경찰청장을 겸하는 꼴이 되어버린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정 지역 출신이 전부 권력기관을 장악하고 있다”며 “삼권분립, 기관 간의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그 기관의 고유한 국가를 위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현 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이명박 정권이 집권 2년차 국정을 KKK(경북출신, 공안, 공포) 코드인사로 농단하겠다는 대국민 선전포고를 한 셈”이라고 맹비난하며 권력기관장 개편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