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장 내정자인 김석기 서울지방경찰청장은 21일 용산 철거민 사망사고와 관련 “공직 생활을 해오면서 제가 해 온 일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거나 자리에 연연한 적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 청장은 이날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어떤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냐’는 무소속 이윤석 의원의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김 청장은 또 경찰특공대 투입 당시 상부와의 상의 여부에 대해 “이번 건에 대해선 제 상부와 상의한 적은 없다”면서 과잉진압이라는 지적에는 “사전에 충분히 상대측과 (철거민측과) 대화와 설득을 계속했다”며 “이런 심각한 불법 행위가 계속된다면 진입해 검거하겠다는 경고를 수차례 했다”고 해명했다.
김 청장은 이어 “운영 규칙에 따라 시설을 점거하거나 안전이 위협될 때 고도의 전문성을 가진 특공대가 투입되도록 돼 있다”면서 “2006년 미군기지 이전 반대 시위, 2007년 이랜드 노조 농성, 2008년에는 기륭전자 장기파업자 노조원들이 서울광장 조명탑에 올라가 고공시위를 벌일 때 특공대가 시위에 동원된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이 ‘무리한 작전이었다는 점을 인정하느냐’고 묻자 김 청장은 “뜻하지 않은 사고로 인해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 분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하며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면서 “희생자 유족분들에게도 심심한 위로의 말을 드린다”고 밝혔다.
한편 어청수 경찰청장은 ‘특공대 투입 보고를 받은 적 있느냐’는 민주당 김희철 의원의 질문에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일체 보고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어 청장은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사퇴하는 것에 대해 “경찰을 30년째 하고 있다. 경찰에 입문할 때부터 이날까지 한번도 자리에 연연하지 않았다는 것은 평소 소신이었다”면서 “이번 임기를 채우지 못한 것은 경찰들에게 미안한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새롭게 출범한 정권의 철학에 맞춰주는 것도 공직자의 임무라고 생각한다”며 “물러날 때를 정확히 아는 것도 공직자의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심정을 밝힌 뒤 회의장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