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가 지났지만 ‘용산 참사’에 대한 여야간의 공방은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은 특별검사 도입을 주장한 반면 한나라당은 검찰의 수사가 이미 진행 중인 만큼 검찰이 당당하고 공정한 수사로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29일 “검찰이 김석기 서울경찰청장 소환을 미루는 등 청와대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 같다”며 “용산 참사에 대한 공정한 수사가 이뤄지지 않는한 특검 도입이 불가피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 검찰 수사가 공정하지 않다고 보는 국민이 압도적으로 많고, 실제 축소, 은폐 수사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정 대표는 “한나라당이 이번 참사를 공권력 확립의 계기로 삼자고 이야기하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국민의 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것은 국가 폭력이지 공권력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여권의 선 진상규명, 후 책임자 문책 방침은 진상 은폐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특검을 도입해 진상을 공개해야한다”고 말했다.
송영길 최고위원은 “정부는 검찰 수사와 별개로 당장 책임을 물어야할 것”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주무 부서에 대한 책임 추궁”을 거듭 요구했다.
반면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민주당이 특별검사제 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검찰이 중립적이 아니란 이야기이며 검찰제도에 대한 모욕”이라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박 대표는 “한나라당은 중립적인 검찰이 진상을 밝힌 뒤 그에 따른 책임소재를 논하자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이어 “야권의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서도 원래 권한을 가진 기관조사가 미흡할 때 국회가 국정조사를 하는 것이지, 사정기관보다 먼저 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개각과 관련해선 박 대표는 “행정안전부 후임 장관으로 한나라당 국회의원 얘기가 나오는데 이번에는 좀 어렵지 않겠느냐 하는 이야기만 듣고 있다”고 전했다.
박 대표는 “2월 임시국회에서 ‘경제 살리기’ 법안과 금산분리, 미디어관계법 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면서 “미디어법은 방송을 장악하려는 법이 아니라 새로운 미디어 시대에 맞는 법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박 대표는 자신의 4월 재보선 출마설과 관련, “재보선 지역이 몇 개 되지도 않고 말을 앞세우는게 시기상조이며 ‘본다 안 본다’보다도 시간 있으니까 두고 보자”라고 밝혀, 당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자신의 출마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