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국회의장은 2일 “국회는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국회,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국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이날 오후 2월 임시국회 개회사를 통해 “지금 대한민국의 경제는 벼랑끝에 서 있으며 우리 국민들은 비상경제시국을 맞아 국회가 어떤 방향과 대응책을 마련할 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장은 또 “설 연휴를 지나자마자 경제에 대한 어두운 전망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국민의 마음은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며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로 이어지면서 올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왔고,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마저 대폭 축소되고 심지어 대한민국 굴지의 기업조차 작년 4분기에만 1조원가량의 영업적자를 냈다고 한다”며 실물 경제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지적했다.
그는 “경제침체가 장기화되면 대규모 인력감축은 불보듯 뻔한데 문제는 경제회복과 일자리”라며 “신규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현재 100만명 넘는 청년 취업희망자들 역시 갈 곳을 찾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의장은 “우선 정부가 계획 중인 일자리정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조속한 재정집행을 지원해야 한다”며 “일자리 나누기에 앞장서는 기업에는 세제혜택, 금융우대 등을 적극 지원하고 비정규직 보호법 개정 문제도 하루빨리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노사와 국회 정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일괄 타결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김 의장은 이른바 ‘입법전쟁’을 앞둔 여야 정치권의 신경전과 관련 “또다시 일방독주와 폭력의 모습을 보여서는 안되며,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며 “대결의 정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진국 의회처럼 상임위를 중심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용산 참사와 관련, “공권력의 법질서회복도 중요하고 공권력이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며 “여야가 격돌하지 말고 용산사고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우리 국회가 어떤 일을 할 것인지를 차분하게 논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