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014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을 위해 추진해 오던 개발제한구역 변경계획이 당초 보다 대폭 줄어들게 됐다.
시는 최근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이하, 중도위)와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변경에 따른 회의를 열고 인천지역에서 변경되는 개발제한구역을 2.1㎢로 합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당초 개발제한구역 변경 수요를 총 5.68㎢로 정하고 중도위와 협의를 벌여왔다.
시가 설정했던 변경 수요량은 집단취락정비구역이 0.89㎢, 지역현사업이 2.409㎢, 2014아시안게임 경기대회가 2.381㎢였다.
시는 중도위 결정에 따라 집단취락정비 및 지역현안사업은 장기계획으로 미루고 경기장 신설사업 역시 규모를 줄여 추진키로 했다.
중도위는 시와의 협의 과정에서 선수촌 및 미디어촌 규모에 대해 세대수와 인구 밀도 등을 감안해 축소할 것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시는 총 96만㎡부지에 선수촌(55만㎡)과 미디어촌(41만㎡)을 건설하고 이곳에 2만명을 수용할 계획이었지만 사업변경이 불가피하게 됐다.
중도위는 또 경기장 시설에 대해서도 기존 도심지 내 체육시설을 리모델링 통해 개발제한구역 변경을 축소할 것을 제시했다.
시는 결국 중도위의 이같은 방침이 마련되면서 당초의 계획을 대폭 수정해 경기장을 건설키로 했다.
시가 규모를 줄이게 되는 신설 경기장은 계양(배트민턴, 양궁), 남동(농구, 럭비), 선학(볼링, 축구) 등 3개 경기장이다. 이들 3개 지역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변경이 전제돼야 사업이 가능한 지역이다.
시 관계자는 "아시안게임을 대비해 변경이 가능한 총 수요량을 제시했지만 타 지자체와의 형평성 문제로 당초 보다 대폭 축소돼 추진하게 됐다"며 "개발제한구역에 신설되는 경기장을 줄여 사업을 추진해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