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밥값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논리 빈축

김부삼 기자  2009.02.23 08:02:02

기사프린트

최근 지역경제를 ‘밥값(?)’으로 활성화시키려는 일부 지자체가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화성시는 2월부터 글로벌 금융위기와 전반적인 경기침체가 지역경제를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며 ‘전 직원 외식의 날’을 지정,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첫째, 셋째주 금요일 중식을 구내식당이 아닌 외부에서 하도록 요청한 상태다. 그러나 문제는 ‘전 직원 외식의 날’ 운영이 당초 취지와 달리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는 지역경제 회생 차원에서 ‘전 직원 외식의 날’을 운영하고 있지만 시민 혈세 낭비 지적은 물론 직원들이 근무시간마저 준수하지 않는 심각한 부작용마저 낳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더욱이 직원 외식을 자율에 맡기겠다고 밝혔으나 사실상 ‘반강제적 시행’으로 말썽을 빚고 있다.
이 같은 지적은 시가 평상시 구내식당 이용 인원이 400~500명 수준인데 비해 ‘전 직원 외식의 날’에 150명이 먹을 수 있는 식사량만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직원들은 “말만 자율이지 속을 들여다보면 반강제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라며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취지는 알겠지만 ‘실효성’까지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외식의 날’ 운영을 추진해 온 시 자치행정과 측 역시 “구내식당 종사자의 연차휴가를 외식의 날 위주로 실시토록 요청했다”며 “평소 400~500인분의 식사량을 150인분으로 줄여 준비토록 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혀 ‘반강제적 시행’ 사실을 뒷받침했다.
시는 뿐만 아니라 ‘전 직원 외식의 날’ 식사비용 대부분을 ‘시민혈세’로 지출하고 있어 문제다.
현재 ‘외식의 날’ 식사 비용에 대해 시 자치행정과 직원복지담당 A씨는 “직원 외식 시간을 상·하급자간 대화의 시간으로 활용토록 했기에 ‘과비’로 지출하고 있다”며 “시행 초기라서 그렇지 지속 추진되면 개인적으로 중식비를 지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직원들의 입장은 다르다. 직원 B(행정9급)씨는 “2600원으로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는데 외부에서는 사실상 이 돈으로 한 끼 먹기가 어렵다”며 “한 달에 두 번씩 5000~6000원의 중식비를 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고 푸념했다.
직원 C(행정8급)씨 또한 “개인적으로 중식비를 지출토록 했다면 아마 동참하는 직원들이 얼마 되지 않을 것”이라며 ‘중식비 개인 지출’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화성시 직원들은 유독 ‘전 직원 외식의 날’인 첫째, 셋째 금요일에 중식 시간(12~1시)을 준수하지 않는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