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자체 다문화가정 지원 협력”

김부삼 기자  2009.04.21 19:04:04

기사프린트

해마다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을 위해서 지자체와 관련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목소리는 21일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가 김포시와 함께 김포여성회관 대강당에서 가진 ‘다문화 가족 행복만들기’ 강좌에서 나왔다.
이날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는 인천 서구와 강화군, 김포시 등에 살고 있는 결혼 이민자와 가족 400여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족과 관련한 성공사례 발표와 고충상담 등을 가졌다.
강의를 맡은 신숙자 강화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은 "다문화 가족 지원을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도 인식개선과 교육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지자체와 관계기관들의 협력체계로 인한 맞춤형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며 "지역내의 다문화 가족들은 지역 안에서 지역적 특성과 문화에 맞는 지원이 이뤄져야지만 건강한 가족과 지역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와 김포시청 다문화 가족 지원 담당자들 또한 중복적이고 산발적인 지원을 통합, 유기적이고 가족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와 함께 체류, 국적, 사증 등 출입국행정 분야별 업무 담당자들이 다문화 가족들로부터 현장에서 고충상담과 질의시간을 열어 좋은 반응을 얻았다.
부인 파타리안(28·여·베트남)씨와 참석한 김석기(37)씨는 “먹고살기 바빠서 모르는 일이 발생해도 관계기관을 찾아가기가 어려웠는데 오늘 궁금한 것들이 많이 풀렸다”며 “무엇보다 우리와 같은 다문화 가족들을 많이 만나고 성공모델을 볼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 박영순 소장은 “재한외국인의 사회통합을 지원하는 출입국관리사무소와 지자체가 협력한다면 지역내 체류하고 있는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국내정착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월말까지 인천과 부천. 김포지역에 살고 있는 외국인 수는 총 12만2713명으로 지난 2002년과 견줘 무려 3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