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3일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과 천신일 세중나모여행사 회장의 지난 1월 ‘포스코 회장 선임 개입 의혹’에 대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원혜영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박 차장 등이 민간기업인 포스코의 인사에 개입했다는 것은 현 정권의 권력 사유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 원내대표는 또 그제 국회 예산결산특위 전체회의에서 한나라당 소속 이한구 위원장이 이같은 의혹에 대한 박 차장의 답변을 제지한 것과 관련해, 위원장이 나서 의사진행을 방해할 정도로 충성심 경쟁이 유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민간기업인 포스코 인사에 현 정권이 정식 체계도 밟지 않고 사적 활동을 통해 개입했다는 것은 국가운영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당 차원의 진상조사위원회를 꾸려 철저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 인사 관련 의혹을 처음 제기한 우제창 의원은 “지난 1년간 공기업 임원, 기관장 감사, 비상임 이사의 70%를 비롯해 포스코 등 민간기업까지 모두 ‘MB맨’으로 교체됐다”며 “‘공기업 선진화’라는 것이 말만 번지르르하고 내용은 완전히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의혹을 제기한 배경과 관련, “어느 특정 재벌 기업이 포스코의 주가가 떨어지는 틈을 타, 주식을 매집하기 위해 테스크포스(TF)팀을 만들었다고 한다”며 “현 정권이 어느 특정 재벌, 기업에게 국민적인 기업을 넘겨주려는 수순을 밟고 있다면 그것에 쐐기를 박고 싶었을 뿐,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정략적인 의도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박병석 정책위의장도 “포스코는 대한민국이 자랑하는 세계적 기업이고 민영화된 기업인데, 정부가 인사권을 좌우한다면 세계의 투자자들과 시장으로부터 신뢰에 큰 상처를 입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