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8일 교육개혁과 관련 “대학 입시 제도가 잘 확립이 돼야 초중고 교육도 정상화될 수 있다”면서 “교육개혁은 ‘선(先) 대학입시제도 확립, 후(後) 초중고 교육 정상화’ 순서로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로 전국14개 대학 총장들을 초청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 방안과 교육역량 강화 방안’ 을 주제로 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대학의 학생선발 방식은 대학뿐만 아니라 우리 공교육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입 정상화를 말하면 많은 분들이 ‘오랜 시간을 갖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 고 애기를 하는데 그것은 과거 60~70년대 지식정보화 이전의 속도”라고 지적하며 “오늘 같은 디지털 시대에는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혁의 속도를 높이고 빠르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세계 경제위기를 극복한 이후의 큰 과제는 교육개혁이고 그 근간은 글로벌 시대를 맞아 글로벌 인재를 키우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대학도 학생 선발 시 개별 대학의 이익 보다는 미래 한국을 짊어지고 나갈 인재를 뽑고 기른다는 관점에서 접근해야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배용 이화여대 총장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 방안’ 을 발표하며 “초중등교육의 정상화와 사교육 의존도 감소를 위해 입학사정관제와 같은 고교 연계형 대입전형을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장은 “대학 입학전형의 근본적 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대학의 의지를 국민과 사회에 표명하기 위해 공동선언을 5월 중에 추진하고 있다”면서 “대입전형뿐 아니라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범사회적 협력기구인 ‘교육협력위원회’ 를 구성해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길 한동대 총장도 ‘대학학부 교육력 강화 방안’ 을 발표하며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재를 바른 인성과 융합지식을 갖춘 글로벌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학부 교육이 더욱 내실화될 필요성이 있다”며 정부의 지원을 건의했다.
한편 안병만 교과부장관은 “초중등교육과정의 정상화와 대학의 학생선발권 확대가 균형을 이루는 고교연계형 대입전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학, 고교, 정부,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대학의 고교연계형 대입전형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건국대·경북대·고려대·동국대·부산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전남대·중앙대· 충남대·한국외대·한동대 총장이 참석했으며, 정부 측에서는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정정길 대통령실장, 정진곤 교육과학문화수석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