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인천시 “자동차 공회전 제한장치 보급”

김부삼 기자  2009.05.11 18:05:05

기사프린트

자동차 에너지 절약과 함께 대기환경 보존을 위한 자동차 공회전 제한장치가 보급된다.
인천시는 자동차 연료비율 향상과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및 탄소배출권 판매를 위해 인천지역 시내버스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보급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공회전 제한장치는 기존 특정 경유차에 보급되는 저공해 저감장치(DPF, DOC)보다 공해 저감성능이 우수한데다 연료마저 절약되는 최첨단 장치다.
공회전 저감장치는 또 신호대기 중에 기어를 중립에 놓으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고 재 출발시에는 가속페달을 밟으면 시동이 걸리는 장치다.
현재 환경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인천과 서울, 경기도지역 경유차 81대를 대상으로 시범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환경부는 공회전 저감장치에 대한 시범운행 결과를 토대로 공회전 제한장치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올 하반기부터 택시와 버스 등에 보급할 예정이다.
평가되는 주요 사항은 연비개선은 물론 자동차 부품에 미치는 영향과 사용의 편의성 등이다.
시는 이에 따라 이번 추경예산을 통해 1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하고 공회전 저감장치를 부착하려는 시내버스 운송업자에게 소요 비용의 50%를 보조할 계획이다.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비용은 100만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시는 그러나 공회전 제한장치 부착을 원하는 시내버스 운송업자가 없을 경우 관용차량을 비롯해 택시와 택배차량, 승용차에 적용해 나가기로 했다.
수도권 지역내 4~5개 업체가 현재 공회전 제한장치 연구,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시는 공회전 제한장치가 보급되면 CNG버스 1대당 연간 연료비 367만9000원이 줄어들어 최소한 10%에 이르는 연비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또 온실가스 배출량과 관련, CNG버스 1대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11.8톤 가량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공회전 제한장치가 본격 공급되면 연료절약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달 안으로 시범 운행이 끝나고 환경부의 기준이 마련되는대로 본격적으로 보급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