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간선 급행버스 환승정류소

김부삼 기자  2009.05.14 20:05:05

기사프린트

지난해 9월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좌석형 버스까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교통 혼잡이 심한 2개 간선축을 대상으로 서울도심까지 빠르게 운행하는 15개 간선급행버스 노선을 시범 운행한 결과 이용객수가 급속히 증가해 이용객의 교통편익증진과 환승의 활성화를 위해 출퇴근 이용객이 많은 환승 정류소 8곳을 선정, 금년 9월까지 첨단시설을 갖춘 대규모 시설로 개선한다.
그동안 경기도는 버스노선의 이용수요에 따라 소규모 정류소를 설치해 운영해 왔으나, 간선급행버스제도를 도입하면서 기존 환승정류소를 이용하는 출퇴근 이용객이 급속히 증가하고 일부 정류소의 승차대기행렬이 100m이상 길어짐에 따라 이용객의 불편이 초래되어 기존 정류소 규모로는 이용수요를 충족할 수 가 없었다.
이번에 개선되는 환승거점 정류소는 규모를 간선급행버스 이용수요에 따라 목적지별로 쉘터 1~3개를 연결해 최장 24m길이로 주변실정에 맞게 설치하고, 쉘터간 일정간격을 두어 1개 쉘터에 간선급행버스가 동시에 2대 이상 정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객들이 환승이용에 편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쉘터의 모형은 도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도입한다. 정류소 상단부에 G마크 사인을 설치해 경기버스의 정체성과 상징성이 담긴 공공시설임을 표현했고, 전통 한옥의 칸을 상징하는 기둥을 합리적으로 배치해 전통의 멋을 살렸으며 새의 날개를 펼쳐 비상하는 새의 이미지를 형상화했다.
그리고 환승거점 정류소에는 이용객 편의 증진과 환승이 용이하도록 첨단시설을 설치한다. 버스노선별 도착 예정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버스도착 정보안내기(BIS 단말기)를 설치해 이용 편의성을 높였고, 장애우와 노인, 어린이 등 노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탑승도우미, 점자유도타일, 낮고 넓은 벤치 등을 설치해 버스를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했다.
설치 장소는 ▲성남시 2곳은 이매촌 한신아파트 앞 상·하행선(쉘터 6개)이며, ▲용인시 6곳은 명지대사거리(쉘터 2개), 보정역(2개), 지역난방공사 앞(2개), 연원마을 앞(1개), 현대1차아파트 앞(1개),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앞(1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