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이 개성공단 사업 남측 법규 및 계약무효화를 선언한 가운데 개성공단에 입주한 인천지역 업체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여기에 개성공단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던 입주예정 업체들이 대책마련에 고심하는 등 크게 술렁이고 있다.
지난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이 15일 개성공단관리위원회에 통지문을 보내 개성공단에서 남측에 특혜적으로 적용했던 토지임대료와 북한 근로자 임금, 각종 세금 등 관련 법규와 계약 무효를 선포했다.
현재 개성공단에 입주한 인천지역 업체는 정보통신기기와 전자부품, 주방기구 생산업체 등 모두 10곳으로 입주예정(희망)업체만 26곳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북한의 무효화 선언으로 인해 이들 업체들은 개성공단 폐쇄조치 등을 우려하며 정부 대책과 북한의 태도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태다.
정보통신기기 생산업체 A사 관계자는 “아직까진 생산활동엔 큰 지장은 없다”며 “하지만 북한이 앞으로 임금인상과 토지사용료 지급 등을 할 수 있어 재정압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업체명 공개를 거절한 B사 관계자는 “실제로 지난달 북한이 근로자들의 임금인상과 2014년까지 내야하는 토지사용료를 2010년까지 앞당겨 내달라고 요구해왔다”면서 “이미 투자한 자금이 있는데 무턱대고 이를 받아들일 순 없다”고 불평했다.
이런 가운데 개성공단 진출을 눈앞에 둔 업체들의 근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북한이 자신들의 요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혹시라도 개성공단을 폐쇄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전자제품 제조업체 C사 관계자는 “올해 안에 개성공단에 입주하려던 계획에 큰 차질이 생겼다”며 “엄청난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만큼 시와 정부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국제협력관실 남북교류팀 관계자는 “이들 업체의 동향을 파악하곤 있으나 현재로선 정부 대책을 지켜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