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도 잘 견디는 호황산업은 조선, 항공, 자전거, 담배 제조업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9일 ‘불황기 호황산업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제조업, 서비스업, 도소매업을 64개 그룹으로 나누어 국내경기에 대한 민감도를 계산한 결과 경제성장이 1%포인트 악화되면 ‘조선·항공·자전거’는 2.66%포인트, ‘담배’는 0.26%포인트 생산이 늘어나는 호황산업”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조선, 항공과 같은 수주산업의 경우 급격한 경기하락에도 기존 수주물량으로 인해 출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석유·연탄’의 민감도는 0.17(경제성장이 1%포인트 줄어들 때, 생산이 0.17%포인트 감소)로 나타나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행’(0.47), ‘연구개발’(0.44), ‘세면도구·화장품 제조’(0.60), ‘음식료품 판매’(0.66) 등도 저(低)민감도 산업으로 분류됐다.
이에 반해 ‘증권·보험’(5.77)은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산업으로 조사됐다. 이어 ‘자동차 및 부품’(4.32), ‘오락·문화·운동’(3.45), ‘가구’(3.41), ‘기계·승강기’(3.25), ‘가정기기·조명’(3.11), ‘목재’(2.95), ‘영화·방송·공연’(2.80), ‘의복·악세서리’(2.23) 등이 고(高)민감도 산업으로 분류됐다.
이번 분석은 1995년 1분기부터 2008년 4분기까지 경기와 생산량 통계를 가지고 추정한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밝혔다.